분산 ID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블록체인]]
[[분류:블록체인]]


;Decentralized IDs, DIDs
;Dfffecentralized IDs, DIDs


분산원장을 이용해 중앙등록기관 없이 시장 자율로 운영되는 확장성 있는 '''[[자기주권 신원]]''' 증명 체계
분산원장을 이용해 중앙등록기관 없이 시장 자율로 운영되는 확장성 있는 '''[[자기주권 신원]]''' 증명 체계
77번째 줄: 77번째 줄:
*중앙기관에서 모든 사용자의 신원정보 관리
*중앙기관에서 모든 사용자의 신원정보 관리
|
|
*각 참여사 DB에 저장(또는 공동 DB 이용<ref>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델이나 아직까지 국내 컨소시엄 중에선 이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는 없음</ref>)
*각 참여사 DB에 저장 (또는 공동 DB 이용<ref>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델이나 아직까지 국내 컨소시엄 중에선 이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는 없음</ref>)
*블록체인을 통해 동기화
*블록체인을 통해 동기화
|
|
115번째 줄: 115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설명'''  
|-
|-
!'''DID'''
!'''DID'''
|
|
*주체나 신원을 가리키는 고유한 식별자
* 주체나 신원을 가리키는 고유한 식별자
|-
|-
!'''[[DID 문서]]'''
!'''[[DID 문서]]'''
125번째 줄: 125번째 줄:
'''[[DID 문서|(DID Document)]]'''
'''[[DID 문서|(DID Document)]]'''
|
|
*DID를 식별자(Key)로 하여 식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설명한 문서
* DID를 식별자(Key)로 하여 식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설명한 문서
|-
|-
!'''검증 가능한 신분증'''
!'''검증 가능한 증명서'''


'''(Verifiable Credential)'''
'''(Verifiable Credential)'''
|
|
*증명하고자 하는 자격이 담겨있는 '''텍스트 기반'''<ref>W3C 표준은 [[JSON-LD]]로 표현되어 있으나 포맷엔 제한 없음</ref>'''의 인증서'''  (나이 + 이름 + 학력이 기재된 증명서)
* 증명하고자 하는 자격이 담겨있는 '''텍스트 기반'''<ref>W3C 표준은 [[JSON-LD]]로 표현되어 있으나 포맷엔 제한 없음</ref>'''의 인증서'''  (나이 + 이름 + 학력이 기재된 증명서)
*암호학적인 방법으로 증명 가능한 구조
* 암호학적인 방법으로 증명 가능한 구조
|-
|-
!'''신원(Claim)'''
!'''신원(Claim)'''
|
|
*증명이 대상이 되는 신원(나이, 이름 등)
* 증명이 대상이 되는 신원(나이, 이름 등)
|-
|-
!'''발급자(Issuer)'''
!'''발급자(Issuer)'''
|
|
*신원을 확인하고 DID를 발급하는자
* 신원을 확인하고 DID를 발급하는자
|-
|-
!'''주체(Subject)'''
!'''주체(Subject)'''
|
|
*신원의 주체가 되는 자
* 신원의 주체가 되는 자
|-
|-
!'''보유자(Holder)'''
!'''보유자(Holder)'''
|
|
*증명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제시하는 자
* 증명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제시하는 자
|-
|-
!'''검증자(Verifier)'''
!'''검증자(Verifier)'''
|
|
*자격 증명자로, 일반적으로 자격을 확인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 서비스 제공자  (ex. 술담배 판매를 위해 신원증명 주체가 ‘성인’인지 여부를 알고싶어 하는 편의점주)
* 자격 증명자로, 일반적으로 자격을 확인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 서비스 제공자  (ex. 술담배 판매를 위해 신원증명 주체가 ‘성인’인지 여부를 알고싶어 하는 편의점주)
|-
|-
!'''해석기(Resolver)'''
!'''리졸버(Resolver)'''
|
|
*블록체인 및 전자서명 기술을 이용하여 증명 가능한 신원을 검증하는 도구
*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신원의 검증하는 도구
|-
|-
!'''지갑(Wallet)'''
!'''지갑(Wallet)'''
|
|
*증명서를 저장하고 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 증명서를 저장하고 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
|-
!'''분산 원장'''
!'''분산 원장'''
166번째 줄: 166번째 줄:
'''(Distributed Ledger)'''
'''(Distributed Ledger)'''
|
|
*신원증명의 검증 값을 보관하는 신뢰된 분산원장
* 신원증명의 검증 값을 보관하는 신뢰된 분산원장
*기존의 알려진 원장을 이용할 수도 있고 컨소시엄 등에서 별도의 원장을 구축할 수도 있음
* 기존의 알려진 원장을 이용할 수도 있고 컨소시엄 등에서 별도의 원장을 구축할 수도 있음
|-
|-
!'''DID 컨소시엄'''
!'''DID 컨소시엄'''
|
|
*분산원장을 운영하거나 표준·규격 등을 협의하기 위한 기업·기관 협의체
* 분산원장을 운영하거나 표준·규격 등을 협의하기 위한 기업·기관 협의체
|-
|-
!'''정책 기관'''
!'''정책 기관'''
|
|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책기관
*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책기관
*분산 ID 관련 법제도 및 인증기준 등 마련
* 분산 ID 관련 법제도 및 인증기준 등 마련
|-
|-
!'''표준(Standard)'''
!'''표준(Standard)'''
|
|
*DID 구조, 프레임워크, 신원증명 방법 등을 통일
* DID 구조, 프레임워크, 신원증명 방법 등을 통일
|-
|-
!'''매체 규격'''
!'''매체 규격'''
186번째 줄: 186번째 줄:
'''(DID Method Spec)'''
'''(DID Method Spec)'''
|
|
*사용하는 분산원장 및 신원증명 수단별로 세부 사항을 규정한 규격서
* 사용하는 분산원장 및 신원증명 수단별로 세부 사항을 규정한 규격서
|}
|}


==기반 기술==
== 기반 기술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구분
!구분
196번째 줄: 196번째 줄:
!'''[[블록체인]]'''
!'''[[블록체인]]'''
|
|
*분산원장의 신뢰성을 위한 자료 구조
* 분산원장의 신뢰성을 위한 자료 구조
|-
|-
!'''[[전자서명]]'''
!'''[[전자서명]]'''
|
|
*공개키를 이용한 부인방지 및 인증 수단
* 공개키를 이용한 부인방지 및 인증 수단
|-
|-
!'''[[영지식 증명]]'''
!'''[[영지식 증명]]'''
|
|
*선택적 신원증명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
* 선택적 신원증명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
*정보를 드러내지 않고 정보의 인지 여부, 옳고 그름을 증명하기 위한 암호학적 기술
* 정보를 드러내지 않고 정보의 인지 여부, 옳고 그름을 증명하기 위한 암호학적 기술
|-
|-
!'''[[JSON-LD]]'''
!'''[[JSON-LD]]'''
|
|
*DID 문서, 신원, 증명서를 표현하기 위한 표기 규칙
* DID 문서, 신원, 증명서를 표현하기 위한 표기 규칙
|-
|-
!'''[[URI]]'''
!'''[[URI]]'''
|
|
*DID를 표현하기 위한 표현 규칙 기반
* DID를 표현하기 위한 표현 규칙 기반
*서비스 엔드 포인트를 가리키기 위한 주소
* 서비스 엔드 포인트를 가리키기 위한 주소
|}
|}


244번째 줄: 244번째 줄:
**Amendment to Rec. ITU-T X.509 | ISO/IEC 9594-8 - Design considerations for a Decentralized PKI (2019)
**Amendment to Rec. ITU-T X.509 | ISO/IEC 9594-8 - Design considerations for a Decentralized PKI (2019)


==국내외 사례 및 동향향==
==동향==


===국내===
===국내===


*국가 디지털 신분증 구축사업을 ‘디지털 정부혁신 기본계획 및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주요 과제로 선정해 추진
*국가 디지털 신분증 구축사업을 ‘디지털 정부혁신 기본계획 및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주요 과제로 선정해 추진
*'''(관계부처 합동)'''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2020.6)에 DID 관련 내용 포함
*'''(행안부)'''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 (2021년 초)
*'''(행안부)'''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 (2021년 초)
**오프라인 : 정부 청사 출입, 도서관 등 지역 서비스 이용
**오프라인 : 정부 청사 출입, 도서관 등 지역 서비스 이용
276번째 줄: 275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구분'''
|'''구분'''
!'''고려사항'''
|'''고려사항'''
!'''설명'''
|'''설명'''
!'''해소방안'''
|'''해소방안'''
|-
|-
! rowspan="4" |기술·
| rowspan="4" |기술·


보안
보안
|선택적 노출
|선택적 노출
|
|
*프라이버시 보호, 진정한 자기 주권을 위해선 신원주체의 선별적 신원 제시 필요
* 프라이버시 보호, 진정한 자기 주권을 위해선 신원주체의 선별적 신원 제시 필요
|
|
*영지식 증명
* 영지식 증명
*Credential Level
* Credential Level
|-
|-
|식별자 문제
|식별자 문제
|
|
*동일 DID를 범용적,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고유식별자적 성격으로 변질 가능성
* 동일 DID를 범용적,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고유식별자적 성격으로 변질 가능성
*매번 새로운 식별자 발급을 위한 성능 부하, 증명값이 블록으로 쌓이는 지연시간
* 매번 새로운 식별자 발급을 위한 성능 부하, 증명값이 블록으로 쌓이는 지연시간
|
|
*영지식 증명
* 영지식 증명
*실시간 발급
* 실시간 발급
|-
|-
|폐기·재발급 등
|폐기·재발급 등
|
|
*중앙 관리 기관 부재로 도용, 폐기, 재발급 등에 대한 관리 체계 부족
* 중앙 관리 기관 부재로 도용, 폐기, 재발급 등에 대한 관리 체계 부족
|
|
*관련 세부 규격 마련
* 관련 세부 규격 마련
*가이드라인 제시 등
* 가이드라인 제시 등
|-
|-
|확장성·
|확장성·
310번째 줄: 309번째 줄:
완결성 문제
완결성 문제
|
|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확장성(Scalability), 완결성(Finality) 문제
*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확장성(Scalability), 완결성(Finality) 문제
|
|
*스케일링, 샤딩
* 스케일링, 샤딩
*Checkpoint, PBFT
* Checkpoint, PBFT
|-
|-
! rowspan="2" |법률·
| rowspan="2" |법률·


제도
제도
322번째 줄: 321번째 줄:
보호법제
보호법제
|
|
*분산ID 식별자에 대한 개인정보 해석 가능성
* 분산ID 식별자에 대한 개인정보 해석 가능성
*분산 원장 인프라에 대한 개인정보 위수탁, 제3자 제공 해석
* 분산 원장 인프라에 대한 개인정보 위수탁, 제3자 제공 해석
|
|
*관련 부처의 유권해석
* 관련 부처의 유권해석
|-
|-
|제도 기반
|제도 기반
|
|
*본인확인, 실지명의 확인 등 기존 제도화된 인증 체계와 충돌
* 본인확인, 실지명의 확인 등 기존 제도화된 인증 체계와 충돌
*전자서명 인정사업자 등 법적인 기관 위주의 시장 진입 어려움
* 전자서명 인정사업자 등 법적인 기관 위주의 시장 진입 어려움
*블록체인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검증 어려움
* 블록체인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검증 어려움
|
|
*관련 법률 개정
* 관련 법률 개정
*블록체인 제도화 및 관리
* 블록체인 제도화 및 관리
*정부 주도 실증 서비스 출시
|-
|-
! rowspan="5" |시장
| rowspan="5" |시장
|거버넌스
|거버넌스  
|
|
*범국가적 거버넌스, 통일된 체계 부재
* 범국가적 거버넌스, 통일된 체계 부재
*DID 얼라이언스, MyID 얼라이언스, 이니셜 DID 연합 등 난립
* DID 얼라이언스, MyID 얼라이언스, 이니셜 DID 연합 등 난립
|
|
*관련 부처 중심으로 거버넌스 쳬계 확립
* 관련 부처 중심으로 거버넌스 쳬계 확립
*얼라이언스간 협의체 마련
* 얼라이언스간 협의체 마련
|-
|-
|신뢰된 원장
|신뢰된 원장
|
|
*비트코인 등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분산 원장 사용의 적절성 이슈
* 비트코인 등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분산 원장 사용의 적절성 이슈
*컨소시엄 블록체인 외 이종 산업간 범용 가능한 분산원장 부재
* 컨소시엄 내부 블록체인 외 이종 산업간 범용 가능한 분산원장 부재
|
|
*신뢰 기관을 중심으로 개방 원장 구축
* 신뢰 기관을 중심으로 개방 원장 구축
*블록체인 제도화 및 관리
* 블록체인 제도화 및 관리
*DID 통합 해석기 구축 지원
|-
|-
|공통 표준
|공통 표준
359번째 줄: 356번째 줄:
부재
부재
|
|
*(국내) 금융보안원과 TTA의 표준에도 불구, 한국은행에서 새로운 표준화 추진
* (국내) 금융보안원과 TTA의 표준에도 불구, 한국은행에서 새로운 표준화 추진
*(해외) ISO, ITU, W3C, 하이퍼레저 인디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제시됨
* (해외) ISO, ITU, W3C, 하이퍼레저 인디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제시됨
|
|
*업계 간 이해관계 조율
* 업계 간 이해관계 조율
*공통 표준화 참여
* 공통 표준화 참여
|-
|-
|인프라·인식 부족
|인프라·인식 부족
|
|
*신원학인을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 영업점 등의 인프라 보급에 시일 소요
* 신원학인을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 영업점 등의 인프라 보급에 시일 소요
*개념 확립, 블록체인의 검증 값을 이용한 신원 인증 대한 사회적 이해 필요
* 개념 확립, 블록체인의 검증 값을 이용한 신원 인증 대한 사회적 이해 필요
|
|
*SW, 단말기 등 인프라 보급
* SW, 단말기 등 인프라 보급
*관련 교육, 홍보
* 관련 교육, 홍보
|-
|-
|신뢰성 보장
|신뢰성 보장
|
|
*신뢰된 CA, RA 없이 이루어지는 신원 증명 발급에 대한 신뢰 기준 부재
* 신뢰된 CA, RA 없이 이루어지는 신원 증명 발급에 대한 신뢰 기준 부재
|
|
*계층적 인정 기준 마련
* 계층적 인정 기준 마련
|}
|}
==국내 책 추진 현황==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2020.6)'''
*정책 원칙 마련
#국민이 공공분야 제증명 서비스 이용 시 부처별 DID 서비스를 불편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
#DID 서비스의 혁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민간 생태계를 최대한 활용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DID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민간 서비스 발굴 지원
{| class="wikitable"
!추진 전략
!설명
!계획 일정
|-
|공공 플랫폼
|
*공공부문 DID 서비스 이용 시 통합 이용 가능한 공공플랫폼 구축
*민간의 DID 플랫폼과 연계 될 수 있도록 추진
|2021년
|-
|DID 간 연동
|
*여러 다른 DID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해석기 개발 지원
|2021년
|-
|표준·가이드라인
|
*DID 플랫폼 상호 간 연동문제 해결을 위한 요구 사항 도출 및 표준화 추진
*상호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준수해야하는 표준 규격, 기술·보안 등 안내
|2021년
|-
|타 인증수단 연계
|
*기존 인증수단([[공개키 기반 구조|PKI]], [[FIDO]] 등)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지원
|2025년
|-
|신규 서비스 발굴
|
*사람의 자격증명 외 분야의 혁신적 DID 서비스를 발굴 시범사업 추진
*의료정보, 전자계약, 사물제어 등
|2021년
|-
|거버넌스 구축
|
*관계부처· 전문기관·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DID 협의체 구성·운영
*상호운용성 확보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등 논의
|2020년 下
|}
*범부처 통합 공공플랫폼 구축
*DID 간 연동지원 및 타 인증수단 연계
*미래 비대면 사회 대응을 위한 혁신 서비스 발굴 및 적용
*D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br />


*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