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ID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블록체인]]
[[분류:블록체인]]


;Decentralized IDs, DIDs
;Dfffecentralized IDs, DIDs


분산원장을 이용해 중앙등록기관 없이 시장 자율로 운영되는 확장성 있는 '''[[자기주권 신원]]''' 증명 체계
분산원장을 이용해 중앙등록기관 없이 시장 자율로 운영되는 확장성 있는 '''[[자기주권 신원]]''' 증명 체계
77번째 줄: 77번째 줄:
*중앙기관에서 모든 사용자의 신원정보 관리
*중앙기관에서 모든 사용자의 신원정보 관리
|
|
*각 참여사 DB에 저장(또는 공동 DB 이용<ref>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델이나 아직까지 국내 컨소시엄 중에선 이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는 없음</ref>)
*각 참여사 DB에 저장 (또는 공동 DB 이용<ref>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델이나 아직까지 국내 컨소시엄 중에선 이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는 없음</ref>)
*블록체인을 통해 동기화
*블록체인을 통해 동기화
|
|
244번째 줄: 244번째 줄:
**Amendment to Rec. ITU-T X.509 | ISO/IEC 9594-8 - Design considerations for a Decentralized PKI (2019)
**Amendment to Rec. ITU-T X.509 | ISO/IEC 9594-8 - Design considerations for a Decentralized PKI (2019)


==국내외 사례 및 동향향==
==동향==


===국내===
===국내===


*국가 디지털 신분증 구축사업을 ‘디지털 정부혁신 기본계획 및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주요 과제로 선정해 추진
*국가 디지털 신분증 구축사업을 ‘디지털 정부혁신 기본계획 및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주요 과제로 선정해 추진
*'''(관계부처 합동)'''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2020.6)에 DID 관련 내용 포함
*'''(행안부)'''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 (2021년 초)
*'''(행안부)'''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 (2021년 초)
**오프라인 : 정부 청사 출입, 도서관 등 지역 서비스 이용
**오프라인 : 정부 청사 출입, 도서관 등 지역 서비스 이용
379번째 줄: 378번째 줄:
*계층적 인정 기준 마련
*계층적 인정 기준 마련
|}
|}
==국내 책 추진 현황==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2020.6)'''
*정책 원칙 마련
#국민이 공공분야 제증명 서비스 이용 시 부처별 DID 서비스를 불편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
#DID 서비스의 혁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민간 생태계를 최대한 활용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DID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민간 서비스 발굴 지원
{| class="wikitable"
!추진 전략
!설명
!계획 일정
|-
|공공 플랫폼
|
*공공부문 DID 서비스 이용 시 통합 이용 가능한 공공플랫폼 구축
*민간의 DID 플랫폼과 연계 될 수 있도록 추진
|2021년
|-
|DID 간 연동
|
*여러 다른 DID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해석기 개발 지원
|2021년
|-
|표준·가이드라인
|
*DID 플랫폼 상호 간 연동문제 해결을 위한 요구 사항 도출 및 표준화 추진
*상호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준수해야하는 표준 규격, 기술·보안 등 안내
|2021년
|-
|타 인증수단 연계
|
*기존 인증수단([[공개키 기반 구조|PKI]], [[FIDO]] 등)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지원
|2025년
|-
|신규 서비스 발굴
|
*사람의 자격증명 외 분야의 혁신적 DID 서비스를 발굴 시범사업 추진
*의료정보, 전자계약, 사물제어 등
|2021년
|-
|거버넌스 구축
|
*관계부처· 전문기관·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DID 협의체 구성·운영
*상호운용성 확보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등 논의
|2020년 下
|}
*범부처 통합 공공플랫폼 구축
*DID 간 연동지원 및 타 인증수단 연계
*미래 비대면 사회 대응을 위한 혁신 서비스 발굴 및 적용
*D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br />


*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