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사회공학 기법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사회공학 기법(social engineering)은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악용하여 기밀 정보나 시스템 접근 권한을 탈취하려는 '''비기술적 해킹 수법'''이다. 보안 시스템 자체를 뚫기보다는 사람의 실수, 신뢰, 공포, 호기심 등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념== 사회공학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공격자가 신뢰를 가장하거나 위협을 사용함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나 접근 권한을 제공함 *기술적 해킹보다 방어가 어렵고 탐지되기 힘듦 ==주요 기법== *'''피싱 (Phishing)''' **이메일, 메시지 등을 통해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여 로그인 정보 등을 탈취 **예: 은행 사칭 이메일 *'''스피어 피싱 (Spear Phishing)''' **특정 개인이나 조직을 겨냥한 정밀 피싱 공격 *'''프리텍스팅 (Pretexting)''' **공격자가 특정 인물이나 직책을 사칭하여 정보 요구 **예: IT 부서인 척 전화하여 비밀번호 요구 *'''테일게이팅 (Tailgating)''' **물리적 보안 구역에 무단 침입 **예: 출입증 없는 사람이 문 열릴 때 따라 들어감 *'''베이팅 (Baiting)''' **악성 USB, 링크, 파일 등을 유인물처럼 제공 **호기심이나 이익을 자극함 *'''퀴즈나 설문 사기''' **소셜 미디어에서 '이름+생일=닉네임' 등의 콘텐츠로 개인 정보 수집 *'''바이싱 (Vishing), 스미싱 (Smishing)''' **음성 통화(vishing), 문자 메시지(smishing)를 통한 피싱 ==심리적 유도 요소== *긴급성 강조 *신뢰/권위 있는 인물 사칭 *두려움 유발 *호의/도움 요청 *익숙한 브랜드나 기업 로고 사용 ==방어 방법==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첨부파일 클릭 금지 *의심스러운 전화나 이메일에 즉각 응답하지 않기 *비밀번호, OTP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기 *물리적 접근 통제 강화 *정보보안 교육 및 의심 훈련 (보안 인식 훈련) ==조직 차원의 대응== *다단계 인증(MFA) 적용 *침입 탐지 및 로깅 시스템 운용 *권한 최소화 원칙 적용 *사회공학 시뮬레이션(모의 훈련) 실시 ==같이 보기== *[[피싱]] *[[사이버 보안]] *[[인간의 약점]] *[[보안 인식 훈련]] *[[해킹]] ==참고 문헌== *Mitnick, K. D., & Simon, W. L. (2002). The Art of Deception. Wiley *Hadnagy, C. (2018). Social Engineering: The Science of Human Hacking. Wiley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사회공학적 공격 대응 가이드 [[분류:보안 공격]]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