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테스트 자동화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분류:소프트웨어 공학]][[분류:기술사 기출]]
[[분류:기술사 기출]]
* 상위 문서 [[소프트웨어 테스트]]
 
*상위 문서 [[소프트웨어 테스트]]
 
;Software Test Automation
;Software Test Automation
;소프트웨어 테스트 케이스 개발, 테스트 수행,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등 소프트웨어 테스트 과정 일부 또는 전체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하는 기법
;소프트웨어 테스트 케이스 개발, 테스트 수행,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등 소프트웨어 테스트 과정 일부 또는 전체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하는 기법
* 협의적 개념: 소프트웨어 기능에서 정규 입력에 대한 출력 확인, 오류 검출을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술


*협의적 개념: 소프트웨어 기능에서 정규 입력에 대한 출력 확인, 오류 검출을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술
== 테스트 자동화 기술 ==
 
* 테스트 자동 반복 수행
==테스트 자동화 기술==
* [[퍼징 테스트]]
{| class="wikitable"
* 정적 코드 검사(Inspection)
!단계
*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자동화 기술
!설명
|-
| rowspan="3" |설계
|명세기반테스트 설계
|소프트웨어 명세로부터 테스트 절차, 데이터, 드라이버 등 생성
|-
|코드기반테스트 설계
|소스로부터 테스트절차, 데이터, 드라이버 등 생성
|-
|테스트 관리
|테스트계획 수립, 요구사항 및 버그추적 관리 등 지원
|-
| rowspan="5" |구현
|정적 분석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고 분석하는 도구
|-
|Review 및 Inspection
|소스코드 및 설계 문서를 분석해서 가이드라인, 규칙 검사
|-
|커버리지 측정
|주어진 테스트 케이스에 의해 얼마나 테스트 되었는가 측정
|-
|동적 분석
|프로그램 수행 중 시스템 상태평가(Memory Leak 등)
|-
|성능, 로드, 시뮬레이션
|시스템 부하를 생성하고 반응시간, 메모리 사용량 등 측정
|-
|구현
|테스트 수행
|테스트 케이스 자동 수행, 예상결과 비교
|}
 
==[[테스트 자동화 도구]]==
===테스트 수행 자동화===
 
*앱피움: 모바일 테스트용, UIAutomator2 + FacebookWDA
*UIAutomator2: 안드로이드용
*FacebookWDA: iOS용
*Python-UIAutomation-for-Windows: 윈도우용
*PyAtom: Mac OS용
*LDTP: 리눅스용
 
===[[코드 인스펙션]]===
 
*스페로우
*코드마인드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성능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테스트 자동화 장단점==
{| class="wikitable"
!테스트 자동화 장점
!테스트 자동화 단점
|-
|
* 반복적 업무 감소
* 테스트 노력 절감 및 실수 감소
* 객관적 평가 기준 제공
* 효율적인 비용으로 유지보수 가능
|
* 테스트 자동화 도구의 비용이 고가이며 유지비용 높음


* 초기 환경 및 테스트 설정에 많은 시간, 비용 소요
== [[테스트 자동화 도구]] ==
* 도구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자산 유지 비용 소요
=== 테스트 수행 자동화 ===
* 테스트 스크립트 유지보수 어려움
* 앱피움: 모바일 테스트용, UIAutomator2 + FacebookWDA
|}
* UIAutomator2: 안드로이드용
* FacebookWDA: iOS용
* Python-UIAutomation-for-Windows: 윈도우용
* PyAtom: Mac OS용
* LDTP: 리눅스용
=== [코드 인스펙션|코드 검사] ===
* 스페로우
* 코드마인드
===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


==기술사 기출==
=== 성능 테스트 ===


*정보관리기술사 121회 3교시
==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


==참고 문헌==
== 테스트 자동화 장단점 ==


*[http://blog.skby.net/테스트-자동화/ 도리의 디지털라이프]
== 기술사 기출 ==
* 정보관리기술사 121회 3교시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