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수학적 귀납법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수학적 귀납법(Mathematical Induction)은 자연수에 대한 명제를 증명하는 강력한 방법으로, 특정 성질이 모든 자연수에 대해 성립함을 보이는 데 사용된다. ==개요== 수학적 귀납법은 다음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기본 단계(Base Case)''' - 가장 작은 자연수(보통 n = 1)에 대해 명제가 성립함을 증명한다. #'''귀납 단계(Inductive Step)''' - 어떤 자연수 k에 대해 명제가 참이라고 가정(귀납 가정)하면, k+1에서도 성립함을 증명한다. 이 두 가지를 만족하면, 모든 자연수에 대해 명제가 참임을 증명할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 수학적 귀납법은 자연수가 '''선형적인 순서'''를 가지며, '''정렬 원리(Well-Ordering Principle)'''에 의해 최소 원소부터 시작하여 증명할 수 있다는 개념에 기반한다. 이는 도미노가 넘어지는 과정과 유사하다. ==수학적 귀납법의 유형== ===보편적 수학적 귀납법(Standard Induction)=== 가장 일반적인 귀납법으로, k에서 성립하면 k+1에서도 성립함을 보인다. '''예제''': 1부터 n까지의 합이 다음 공식을 따른다는 것을 증명하라. *n개의 자연수 합 공식: **'''S(n) = 1 + 2 + ... + n = (n(n+1))/2''' '''증명''' #'''기본 단계''': n = 1일 때, #*S(1) = 1 = (1(1+1))/2 = 1 #*참이므로 성립한다. #'''귀납 가정''': 어떤 k에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S(k) = (k(k+1))/2 #'''귀납 단계''': k+1에서도 성립함을 보인다. #*S(k+1) = S(k) + (k+1) #*= (k(k+1))/2 + (k+1) #*= ((k(k+1) + 2(k+1)) / 2) #*= ((k+1)(k+2)) / 2 #*이는 공식과 동일하므로 성립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성립한다. ===강한 수학적 귀납법(Strong Induction)=== k에서만이 아니라, 1부터 k까지 모든 경우가 참이라고 가정하여 k+1에서 성립함을 보인다. '''예제''': 모든 n ≥ 1에 대해 피보나치 수열이 다음 점화식을 만족함을 증명하라. *피보나치 점화식: **'''F(n) = F(n-1) + F(n-2), (n ≥ 3)''' '''증명''' #'''기본 단계''': F(1) = 1, F(2) = 1이 성립한다. #'''귀납 가정''': 1 ≤ m ≤ k에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귀납 단계''': F(k+1) = F(k) + F(k-1)이 성립함을 보인다. 점화식 자체가 이전 두 개의 값을 필요로 하므로, '''강한 귀납법'''을 적용해야 한다. ===하향 귀납법(Reverse Induction)=== 보통 n이 큰 값에서 참임을 알고 있을 때, 이를 이용하여 작은 값에서 참임을 보인다. ==수학적 귀납법과 다른 방법 비교== {| class="wikitable" |+귀납법 vs. 다른 증명 기법 |- !증명 기법!!적용 대상!!주요 특징 |- |수학적 귀납법||자연수||도미노처럼 작은 수에서 큰 수로 확장 |- |강한 귀납법||점화식, 알고리즘||이전 여러 값들을 사용하여 증명 |- |실수 귀납법||실수||연속성과 상계를 이용하여 확장 |- |귀류법||모순을 찾아 증명||"참이 아니면 모순"을 보임 |} ==수학적 귀납법의 활용== #'''수열과 수식 증명''' - 등차수열, 등비수열, 피보나치 수열 등. #'''부등식 증명''' - 특정 함수가 항상 일정한 범위 내에 있음을 증명. #'''그래프 이론''' - 그래프의 성질(예: 색칠 가능성, 연결성)을 보일 때 사용. #'''알고리즘 증명''' - 재귀 함수나 동적 프로그래밍의 성능을 분석할 때 사용. ==같이 보기== *[[강한 수학적 귀납법]] *[[실수 귀납법]] *[[귀류법]] *[[조합론]] [[Category:수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