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신체화 인지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신체화 인지(Embodied Cognition)는 인간의 인지가 뇌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는 인지과학 이론이다. ==개요== 신체화 인지 이론은 인간의 사고, 기억, 언어, 문제 해결 등 인지 기능이 신체의 감각 및 운동 시스템, 그리고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기반한다고 본다. 이는 전통적인 정보처리 모델이 뇌 중심의 계산적 사고 과정을 강조한 것과 달리, 인지를 전신적인 경험으로 본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주요 주장== *인지는 신체의 구조와 감각기관의 특성에 의존한다. *인지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며, 맥락적이다. *사고 과정은 종종 신체적 행동을 수반하거나 그것을 모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개념과 의미는 감각운동 경험에서 기인하며, 상징적 표현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대표 사례== *손짓이 문제 해결이나 기억 회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거울신경세포 시스템과 모방 학습 *움직임 기반 학습(예: 몸으로 숫자나 문자를 배우는 활동) *로봇을 이용한 체화된 인공지능 모델링 ==관련 이론== *상황적 인지(Situated Cognition): 인지가 특정한 상황과 환경 내에서만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는 관점 *분산 인지(Distributed Cognition): 인지 기능이 사람, 도구, 환경 등 여러 요소에 분산되어 있다는 관점 *실행 기반 표현(Enactive Representation): 인지 과정이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는 견해 ==비판과 논의== *전통적 인지과학 진영에서는 신체화 인지가 뚜렷한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지적 *실험적 증거가 상황에 따라 상이하며,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다는 비판 *그러나 로봇공학, 인공지능, 교육학 등에서 응용과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같이 보기== *[[체화 인공지능]] *[[상황적 인지]] *[[분산 인지]] *[[거울신경세포]] *[[인공지능과 인지과학]] ==참고 문헌== *Varela, F. J., Thompson, E., & Rosch, E. (1991). *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MIT Press. *Wilson, M. (2002). "Six views of embodied cogni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9(4), 625–636. ==각주== [[분류:인공지능]] [[분류:로보틱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