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애플리케이션 통제 자체 평가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Application Control Self-Assessments (CSA) == 애플리케이션 통제 자체 평가(CSA)는 조직의 사용자가 '''업무 애플리케이션에 내재된 통제가 적절히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는지를 자가 평가(self-assess)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감사팀이 아닌 사용자 또는 운영부서 주체로 이루어지는 평가'''입니다. ---- == 핵심 목적 == * '''내부 통제의 지속적 모니터링''' * '''비효율적이거나 누락된 통제 조기 발견''' * '''운영 부서의 책임성(accountability) 강화''' * '''감사 효율성 향상''': 사전 자체 점검을 통해 '''감사 리소스의 집중적 활용''' 가능 ---- == 적용 대상 통제 == CSA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통제'''를 포함합니다: {| class="wikitable" |+ !유형 !설명 |- |입력 통제 |데이터 입력의 정확성, 완전성 보장 (예: 필드 검증 입력 권한 확인 등) |- |처리 통제 |처리 절차가 정확히 실행되었는지 확인 (예: 자동계산, 일치 검사 등) |- |출력 통제 |출력 결과의 신뢰성 확보 (예: 보고서 검증, 재무 데이터 자동 정산 등) |- |인터페이스 통제 |시스템 간 데이터 연계의 정확성 보장 (예: ERP 회계 시스템 전송 시 검증) |} == CISA 시험 관점 핵심 포인트 == {| class="wikitable" |+ !항목 !설명 |- !도메인 |도메인 4: IT 서비스 제공 및 지원 |- |통제 목적 |업무 중단 예방, 데이터 신뢰성 확보 |- |감사 역할 |CSA 결과의 검증 및 보완 |- |활동 수행 |리스크 기반 접근 CSA 결과를 통해 위험도가 높은 영역 선별 및 감사 집중 |} == 실무 적용 예시 == * 회계 시스템에서 '''입력된 매출 정보의 정확성'''을 영업팀이 매월 자체 확인 * 생산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재고수량 자동 계산 로직'''을 현장 운영팀이 검증 ---- == 관련 용어 및 학습 키워드 == * '''Application Controls''':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지원하는 IT 통제 * '''CSA (Control Self-Assessment)''': 관리자가 주체가 되어 내부 통제를 점검하는 절차 * '''Embedded Controls''': 애플리케이션 내에 설계된 통제 * '''Risk-based Audit Planning''': CSA 결과를 반영한 감사 범위 선정 ---- [[분류:CISA]]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