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영향 분석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sub>아래 첨자</sub>[[분류:경영학]][[분류:정보보안기사]][[분류:프로젝트 관리]]
[[분류:IT경영]][[분류:정보보안기사]][[분류:프로젝트 관리]]
;BIA, Business Impact Analysis
;BIA, Business Impact Analysis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정보시스템 중단을 가정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영향도 조사하여 복구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업무를 재개하기 위한 최소 필요자원을 도출하는 [[업무 연속성 계획]]의 핵심 절차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통합센터에서 운영중인 정보시스템 중단을 가정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핵심 충격요인 및 주요 문서나 기록 등 정보요구사항들을 조사하여 복구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업무를 재개하기 위한 최소 필요자원을 도출하는 등 업무프로세스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절차


== 구성 활동<ref>TTAK.KO-12.0009</ref> ==  
== 개요 ==
* 업무 프로세스의 식별
* 업무 영향 분석의 배경
* 영향 시나리오(impact scenario)의 정의
** 통합센터에 발생가능한 각종 재해로부터 정보시스템 운영중단에 따른 국가적 혼란방지 및 피해 최소화 노력
* 잠재적 업무 영향(potential business impact)의 측정
** 업무시스템에 대한 업무영향분석을 통해 중요도에 따른 복구우선순위 도출, 재해복구 목표수준 설정 등 업무연속성 확보 대비
* 업무 복구 목표([[RTO]], [[RPO]], [[MTPD]])의 정의
* 업무영향분석 목적
* 최소 요구 사항에 대한 평가
** 통합센터에 입주한 업무시스템에 대해 복구의 시급성이 요구되는 업무를 판단하여 복구우선순위를 도출
** 업무영향분석 결과를 통해 입주기관의 업무시스템별 재해복구 목표시간 및 DRS구축수준을 결정하고 관리
* 업무영향분석 내용
** 통합센터에 입주한 중앙행정기관의 업무시스템에 대하여 재해복구우선순위 도출 및 GAP분석을 통해 복구대상시스템 및 복구대상자원 선정


== 분류 ==
== 절차 ==  
{| class="wikitable"
# 중요업무 확정
|-
# [[MTPD]] 산출
! 구분 !! 설명
# 핵심업무 선정
|-
# 소요자원 분석
| 전략적 BIA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의존도 및 [[RTO]] 설정
|-
# 핵심업무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 및 대처방안 분석
| 전술적 BIA || 내‧외부의 프로세스 분석
|-
| 수행 BIA || 프로세스 내의 단위업무(activities) 분석
|}
 
== 같이 보기 ==
* [[재해 복구]]
* [[업무 연속성 계획]]
* [[업무 연속성 관리]]
* [[비상 대응 계획]]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