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연쇄 법칙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연쇄 법칙(連鎖法則, 영어: chain rule)은 미적분학에서 합성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공식이다. 두 함수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함수가 있을 때, 그 도함수는 각 함수의 도함수를 곱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개요== 연쇄 법칙은 "합성 함수의 미분은 내부 함수의 도함수와 외부 함수의 도함수의 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함수가 여러 단계로 연결되어 있을 때, 각 단계에서의 변화율을 곱하여 전체 변화율을 구하는 방식이다. ==공식== 함수 y=f(u), u=g(x)일 때 합성 함수 y=f(g(x))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y/dx = (dy/du)·(du/dx) 보다 일반적으로, h(x)=f(g(x))라 하면 :h'(x) = f'(g(x))·g'(x) ==예시== *함수 h(x)=(3x²+1)⁵를 미분하면, 외부 함수 f(u)=u⁵, 내부 함수 g(x)=3x²+1로 볼 수 있다. 따라서 :h'(x)=5(3x²+1)⁴·6x = 30x(3x²+1)⁴ ==응용== 연쇄 법칙은 물리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물리학: 위치, 속도, 가속도의 관계에서 시간 변수 변환 시 사용된다. *경제학: 여러 단계의 함수적 의존 관계가 있는 모형에서 미분을 단순화하는 데 활용된다. *다변수 함수: 편미분과 전미분을 다루는 과정에서도 연쇄 법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같이 보기== *[[미분]] *[[합성 함수]] *[[도함수]] *[[편미분]] *[[전미분]] ==각주== <references /> [[분류:수학]] [[분류:미적분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