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예측 부호화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Predictive coding(예측 부호화, 혹은 predictive processing)는 뇌가 감각 입력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내부 모델을 통해 감각 입력을 예측하고, 실제 입력과 예측 간의 차이(예측 오차)를 이용해 내부 표현과 모형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으로써 지각 및 인지를 수행한다는 이론이다 <ref>[https://arxiv.org/abs/2107.12979 Predictive Coding: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view, arXiv]</ref> ==개념 및 기본 원리== Predictive coding의 핵심 가정은 다음과 같다: *뇌는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가지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활동을 예측(prediction)한다. *각 계층에서는 예측 신호(prediction)와 실제 감각 신호(sensory input)의 차이를 나타내는 예측 오차(prediction error)를 계산한다. *그 예측 오차는 상향(bottom‑up)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위 계층의 내부 표현을 조정하고, 예측은 하향(top‑down) 방향으로 정보를 보낸다. *이러한 반복적 오차 교정 과정을 통해 내부 표현이 점차 수렴하게 된다 <ref>[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632880/ Predictive Coding and the Neural Response to Predictable Stimuli, PMC]</ref> *예측 오차는 단지 지각(inference)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학습(plasticity)에도 사용되어 신경망 가중치가 적응된다 <ref>[https://arxiv.org/abs/2407.04117 Predictive Coding Networks and Inference Learning, arXiv]</ref> 또한, 예측 부호화 이론은 베이지안 뇌 가설(Bayesian brain hypothesis)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예측 오차 최소화는 [[자유 에너지 원리|자유 에너지 최소화]] 관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ref>[https://arxiv.org/abs/2107.12979 Predictive Coding: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view, arXiv]</ref> ==주요 특징 및 변형== *정밀도 가중치 (Precision weighting) **예측 오차는 단순히 단순 차이만 반영되지 않고, 해당 오차가 얼마나 신뢰할 만한지(정밀도, precision)에 따라 가중되어 처리된다. 이는 주의(attention)와 연결되는 해석도 있다 <ref>[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305946/ Prediction and memory: A predictive coding account, PMC]</ref> *기계학습과의 접목 **Predictive coding은 일부 연구에서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과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 <ref>[https://arxiv.org/abs/2006.04182 Predictive Coding Approximates Backprop along Arbitrary Computation Graphs, arXiv]</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CNN, RNN 구조에도 predictive coding 기반 학습이 가능하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ref>[https://arxiv.org/abs/2103.03725 Predictive Coding Can Do Exact Backpropagation on Convolutional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arXiv]</ref> ==장점과 한계== ===장점=== *상향/하향 정보를 모두 이용하는 효율적인 계층적 표현 학습 *생물학적 타당성 측면에서 더 그럴듯한 신경 모델링 가능성 *예측 오차와 학습을 동일한 틀에서 통합해 설명 ===한계 및 비판=== *뇌에서 실제로 예측 오차가 어떻게 계산되고 전달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ref>[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9763423003731 Is predictive coding falsifiable?]</ref> *깊거나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실제 구현 및 확장성 문제 *예측 오차 최소화가 과잉 일반화(over‑regularization)를 유발할 위험 ==응용 및 증거== *인간 뇌의 반응 억제(repetition suppression) 현상은 predictive coding 이론의 예측과 부합한다는 해석이 있다 <ref>[https://www.simonsfoundation.org/2021/06/03/the-challenges-of-proving-predictive-coding The Challenges of Proving Predictive Coding]</ref> *뇌영상 연구에서도 예측 부호화 계층 구조가 관찰된 바 있다 <ref>[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2-01516-2 Evidence of a predictive coding hierarchy in the human brain]</ref> ==같이 보기== *[[예측 부호화 신경망]] *[[자유 에너지 원리]] *[[적극적 추론]] *[[에너지 기반 모델]] ==참고 문헌== == 각주 == [[분류:뇌 과학]] [[분류:인공지능]] [[분류:딥 러닝]]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