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오케스트레이션 패턴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영어: Orchestration Patter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중앙 컨트롤러(오케스트레이터)가 전체 워크플로우를 제어하고, 각 서비스에 작업을 명령하여 전체 흐름을 관리하는 설계 방식이다. ==정의==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은 여러 서비스가 협력하여 하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완성해야 할 때, 중앙의 오케스트레이터가 서비스 간 호출 순서, 상태관리, 오류처리 등을 책임지는 구조이다. 즉, 하나의 요청이 들어오면 오케스트레이터가 먼저 서비스를 호출하고 응답을 기다린 뒤 다음 서비스를 호출하는 등 전체 흐름을 순차적으로 관리한다. ==주요 구성 요소 및 작동 방식==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 전체 워크플로우의 흐름을 알고 있으며, 각 서비스를 호출하고 결과를 수집하며 다음 단계를 결정한다. *서비스(Microservice): 각 기능 단위를 담당하며, 오케스트레이터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통신 채널: 서비스 간 호출(동기 호출, 비동기 호출 가능)을 위한 API나 메시징 인터페이스. *상태 관리 및 오류 처리: 오케스트레이터가 작업의 성공/실패, 보상 트랜잭션(compensation) 등을 관리한다. ==장점== *흐름이 중앙에서 명시적으로 제어되므로 프로세스 가시성(visibility)이 높고, 어느 단계에서 오류가 났는지 추적하기가 용이하다. *서비스 호출 순서가 명확하고 복잡한 순차적 처리(workflow)를 다루기 적합하다. *오류 처리나 보상 트랜잭션 설계가 비교적 단순하며, 오케스트레이터가 전체 책임을 지기 때문에 장애 대응 전략 수립이 용이하다. ==단점 및 고려사항== *오케스트레이터가 단일 실패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부분이 병목이 될 가능성이 있다. *서비스 간 결합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오케스트레이터가 전체 흐름을 알고 있어 설계 변화 시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대규모 시스템에서 많은 서비스가 연쇄적으로 호출될 경우 지연(latency)이나 리소스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상황 및 예시== ===적용에 적합한 경우=== *여러 서비스가 정해진 순서로 실행되어야 하고, 실행 흐름을 중앙에서 통제할 필요가 있을 때. *전체 프로세스 상태를 추적해야 하거나, 오류 복구 시 전체 흐름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API 단일 진입점이 있고, 내부적으로 여러 서비스를 조합하여 결과를 만들어야 할 때. ===예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주문 처리 흐름을 생각해보면: #사용자 주문 요청 접수 → 오케스트레이터가 주문 생성 서비스 호출 #재고 서비스 호출 → 결제 서비스 호출 → 배송 서비스 호출 #각 단계 완료 여부를 오케스트레이터가 확인하고, 실패 시 재고 복구 혹은 결제 취소 등의 보상 작업을 수행 위 흐름에서 오케스트레이터가 각 단계를 호출하고 제어하는 방식이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이다. === Netflix Conductor 등의 구현 도구 ===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툴 중 하나로 Netflix Conductor가 있다. 이는 마이크로서비스 워크플로우를 정의하고 실행할 수 있는 오케스트레이터 엔진이다. 이처럼 워크플로우 엔진을 통해 상태관리, 오류처리, 병렬/분기 실행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오케스트레이션 설계가 수월해진다. ==오케스트레이션 vs 코레오그래피== 오케스트레이션과 Azure Event Grid·이벤트 기반 Apache Kafka 등을 활용한 코레오그래피 패턴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간 강한 의존성이 있고 명확한 순서가 존재할 경우 오케스트레이션이 적합하며, 반대로 서비스들이 자율적으로 동작하고 이벤트 기반으로 확장성이 중요하다면 코레오그래피가 적합하다. ==설계 팁 및 주의사항== *오케스트레이터 설계 시 워크플로우 정의와 서비스 호출 계약(API)를 명확하게 설계해야 한다. *장애 대응을 위해 재시도(retry) 메커니즘,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보상 트랜잭션(compensation) 등을 고려해야 한다. *모니터링/로깅/트레이싱(Distributed Tracing) 도구를 도입해 각 단계 상태와 오류 발생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케스트레이터의 복제 및 장애 대비 아키텍처를 고려하여 단일 실패지점을 최소화해야 한다. *시스템이 너무 분산되어 있고 서비스 간 독립성이 크다면 코레오그래피 패턴이나 혼합 아키텍처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결론==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은 중앙 제어를 통해 복잡한 서비스 흐름을 제어하고 가시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한 설계 방식이다. 다만, 중앙 집중 구조가 가지는 병목 및 결합도 증가, 확장성 저하 등의 리스크를 고려하여 설계 초기부터 모니터링, 장애대응, 서비스 독립성 확보 등을 병행해야 한다. ==같이 보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코레오그래피 패턴]] *[[SAGA 패턴]]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분산 시스템 설계]] ==참고 문헌== ==각주==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