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올 리듀스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파일:올 리듀스.png|섬네일|올 리듀스 방식 작동 구조]] 올 리듀스(All-Reduce)는 분산 딥러닝 및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 여러 노드(예: GPU)가 계산한 데이터를 집계하고, 그 결과를 모든 노드에 다시 배포하는 집합 통신 연산이다. ==개요== 올 리듀스는 각 노드가 독립적으로 계산한 기울기(gradient) 또는 텐서 값을 서로 공유하고 합산 또는 평균한 뒤, 그 결과를 모든 노드가 동일하게 갖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은 대규모 분산 학습에서 모델 파라미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핵심 기술로 사용되며, 특히 딥러닝 프레임워크([[PyTorch]], [[TensorFlow]], [[Horovod]] 등)에서 기본적인 동기식 데이터 병렬 학습 기법으로 채택된다. ==동작 방식== 올 리듀스는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로 구성된다. *각 노드가 로컬 데이터로 순전파와 역전파를 수행하고 기울기를 계산한다. *모든 노드는 서로의 기울기를 통신하여 합산 또는 평균하는 집계(reduce)를 수행한다. *집계된 결과는 다시 모든 노드에 동일하게 배포된다(gather). *모든 노드는 동일한 기울기를 사용해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특징== *각 노드가 동일한 파라미터를 항상 유지하므로 동기식 학습에 적합하다. *기울기 평균은 단일 노드에서 큰 배치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분산 환경에서도 모델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서버와의 비교== 올 리듀스는 모든 노드가 서로 기울기를 교환하며 집계하는 분산형 통신 구조인 반면, 파라미터 서버(Parameter Server)는 중앙 서버가 모든 워커로부터 기울기를 수집·통합한 뒤 갱신된 파라미터를 다시 배포하는 '''중앙집중식 구조'''이다. * 파라미터 서버는 서버 노드에 통신 및 연산 부하가 집중되어 병목이 발생하기 쉬운 반면, * 올 리듀스는 통신량이 모든 노드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확장성이 높고 대규모 GPU 클러스터 환경에서 더 효과적이다. ==구현 방식== 올 리듀스는 다양한 통신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링 올 리듀스|링 올 리듀스(Ring All-Reduce)]]=== 노드들을 링 형태로 연결하여 각 노드가 자신의 텐서를 여러 조각(chunk)으로 나눠 이웃 노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모든 노드는 동일한 통신량을 가지므로 확장성이 뛰어나며, GPU 클러스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현 방식이다. ===트리 기반 올 리듀스=== 노드들을 트리 구조로 조직하여 상위 노드로 기울기를 모으고(reduce), 다시 하위 노드로 결과를 전파하는(broadcast) 방식이다. 통신 단계의 깊이가 짧아 지연(latency)이 낮은 것이 장점이다. ==장점== *높은 확장성: 노드 수가 많아져도 성능 손실이 작다. *균등한 통신 부하: 특히 링 구조에서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교환한다. *GPU 간 통신을 최적화한 NCCL과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고성능 지원. ==단점== *모든 노드가 동기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느린 노드가 전체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통신 비용이 매우 낮은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효율이 극대화된다. *비동기식 학습에는 적합하지 않다. ==활용== *대규모 딥러닝 모델의 데이터 병렬 학습 *HPC 환경에서 벡터 또는 텐서 연산 집계 *PyTorch DistributedDataParallel(DDP), TensorFlow MirroredStrategy, Horovod 등에서 기본 동작 방식 ==같이 보기== *[[데이터 병렬 처리]] *[[분산 학습]] *[[링 올 리듀스]] *[[파라미터 서버]] *[[딥러닝]] ==참고 문헌== *Sergeev, A.; Del Balso, M. "Horovod: Fast and Easy Distributed Deep Learning in TensorFlow." arXiv (2018). *Thakur, R.; Rabenseifner, R.; Gropp, W. "Optimization of Collective Communication Op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Applications (2005). ==각주== <references /> [[분류:인공지능]] [[분류:분산 컴퓨팅]]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