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임베딩 모델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임베딩 모델(Embedding model)은 고차원의 데이터를 고정된 차원의 실수 벡터 공간으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 학습 모델이다. ==개요== 임베딩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 벡터 공간에 매핑함으로써 유사도 계산, 군집화, 분류 등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임베딩은 주로 딥러닝에서 사용되며, 원-핫 인코딩과 달리 의미적 유사성을 반영하는 밀집 벡터(dense vector)를 생성한다. ==주요 종류==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자연어 처리에서 각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모델로는 Word2Vec, GloVe, FastText가 있다. *문장 및 문서 임베딩(sentence/document embedding): 문장 전체를 벡터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Doc2Vec, Sentence-BERT 등이 있다. *멀티모달 임베딩(multimodal embedding): 텍스트와 이미지, 오디오 등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동일한 임베딩 공간으로 매핑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및 아이템 임베딩(user/item embedding):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아이템을 벡터로 표현하여 이들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추천을 수행한다. ==작동 원리== 임베딩 모델은 주어진 입력 데이터를 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통과시켜 벡터를 출력하도록 학습된다. 이 과정에서 손실 함수(loss function)는 임베딩 간의 유사도가 실제 관계와 유사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학습 방식에는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자기 지도 학습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활용== *검색 및 질의 응답 시스템에서 의미 기반 검색 성능 향상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자 취향 예측 *클러스터링 및 군집 분석 *전이 학습을 위한 사전 학습된 벡터 사용 *의미 유사도 계산 및 관계 추론 ==한계== *벡터 공간의 해석 가능성이 낮아 결과의 직관적 설명이 어려움 *데이터 편향이 임베딩에 반영될 수 있음 *고차원 임베딩의 경우 계산 자원이 많이 소모됨 ==같이 보기== *[[자연어 처리]] *[[신경망]] *[[전이 학습]] *[[추천 시스템]] *[[단어 임베딩]] ==참고 문헌== *Mikolov, T., Chen, K., Corrado, G., & Dean, J. (2013).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arXiv:1301.3781. *Pennington, J., Socher, R., & Manning, C. (2014). GloVe: Global Vectors for Word Representa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MNLP). ==각주== [[분류:인공지능]] [[분류:언어 모델]]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