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코드형 인프라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코드형 인프라'''(영어: Infrastructure as Code, IaC)는 서버,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 컴퓨팅 인프라를 수작업이 아닌 코드 정의 방식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자동화, 재현성, 일관성을 확보하는 인프라 운영 방식이다. ==개념== 코드형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처를 사람이 직접 설정하지 않고, 선언적 또는 명령형 코드 파일로 정의하고 실행함으로써 인프라 자원을 자동으로 구성·배포·삭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인프라를 애플리케이션 코드처럼 관리하는 것으로, 코드의 버전 관리, 리뷰, 테스트, 협업 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DevOps, GitOps 등의 기반 기술로도 활용된다. ==필요성 및 배경== *수동 인프라 구성은 환경 간 불일치, 설정 누락, 사람에 의존한 운영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클라우드 인프라의 동적 자원 생성, 컨테이너 기반 시스템의 빠른 변화 대응에 따라 자동화와 일관성 확보가 중요해졌다. *코드형 인프라는 "인프라 구성은 불변 상태의 코드로 선언하고, 재현 가능해야 한다"는 현대 인프라 운영 철학을 구현한다. ==접근 방식== *선언형(Declarative) **최종 상태(desired state)를 기술하면, 도구가 현재 상태와 비교하여 필요한 작업만 수행함. **예: Terraform, CloudFormation, Pulumi (선언적 모드) *명령형(Imperative) **작업 절차(순서)를 명령 형태로 기술함. **예: Ansible, Shell Script, Bash 기반 설정 스크립트 등 ==주요 특징== *버전 관리 가능성: Git 등에서 인프라 정의 파일을 관리하여 변경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반복 가능성(Repeatability): 동일한 코드로 동일한 환경을 반복 생성 가능. *구성 일관성(Consistency): 수동 설정에 비해 구성 드리프트(Drift)가 줄어든다. *자동화(Automation): 코드 실행만으로 인프라 구성, 변경, 제거가 가능. *테스트 및 검증 가능성: CI 도구를 활용하여 배포 전 인프라 구성을 사전 검증할 수 있다. *자체 문서화: 코드 자체가 인프라의 명시적 설명서 역할을 수행. ==장점== *빠른 환경 구축: 수분 내에 수십~수백 개의 인프라 자원을 자동으로 배포 가능. *개발·운영 환경 일치: 개발/테스트/운영 환경 간 설정 편차를 줄여 버그 발생 가능성 감소. *협업 강화: 인프라 변경이 코드 리뷰 대상이 되므로 팀원 간 투명한 협업이 가능하다. *롤백 및 재현 용이: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이전 상태의 코드를 통해 쉽게 복원할 수 있다. *클라우드 최적화: 동적 리소스, Auto Scaling, Immutable Infrastructure 구현이 용이해진다. ==주의사항 및 단점== *학습 곡선: 선언적 정의 언어나 도구 학습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설정 오류의 위험성: 잘못된 코드는 대규모 인프라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State 관리 이슈: 선언형 도구(Terraform 등)는 상태 파일을 통해 인프라 상태를 추적하므로, 이의 손상이나 충돌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보안 고려 필요: 인프라 코드에 민감한 정보(비밀번호, 키 등)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별도의 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 어려움: 코드 기반 자동화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물리 장비, 폐쇄망 시스템 등이 있을 수 있다. ==대표 도구== *Terraform **HashiCorp에서 개발한 선언형 IaC 도구. **멀티 클라우드 지원, 모듈화, 상태 관리, 코드 재사용성이 뛰어남. *AWS CloudFormation **AWS 인프라를 JSON 또는 YAML 템플릿으로 정의. **AWS 서비스와의 통합성이 높음. *Ansible **Python 기반의 구성 관리 및 자동화 도구. **명령형에 가까우며 에이전트가 필요 없는 구조. *Pulumi **TypeScript, Python, Go 등 범용 언어로 인프라를 정의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IaC 도구. **선언형/명령형 혼합 가능. ==실무 적용 예시== *CI/CD 파이프라인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 전에 테스트 환경의 인프라를 자동으로 구성 및 제거. *장애 복구(Disaster Recovery) 시, 코드로 정의된 백업 인프라를 신속하게 재생성. *멀티클라우드 운영 환경에서 동일 코드 기반으로 GCP, AWS, Azure 등에 일관된 인프라 구성. *개발자가 로컬 또는 클라우드에서 동일한 코드로 테스트 인프라를 구축하여 버그 재현과 테스트 수행. ==같이 보기== *[[DevOps]] *[[CI/CD]] *[[서버는 반려동물이 아닌 가축]]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불변 인프라스트럭처]] *[[GitOps]] *[[구성 관리]] ==참고 문헌==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