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크루스칼 알고리즘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크루스칼 알고리즘'''(Kruskal's Algorithm)은 최소 신장 트리(MST, Minimum Spanning Tree)를 찾는 알고리즘 중 하나로,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그래프의 간선을 가중치가 작은 것부터 정렬한 후, '''서로소 집합(Disjoint Set)'''을 활용하여 최소 비용으로 모든 정점을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다. ==개요==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간선 중심(edge-based)의 알고리즘으로,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정렬한 후,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간선을 하나씩 선택하여 최소 신장 트리를 구성한다. ==동작 과정== *1.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가중치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2.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간선을 '''가중치가 작은 것부터 선택'''한다. *3. '''서로소 집합(Union-Find)'''을 사용하여 두 정점이 같은 집합에 속해 있는지 확인한다. *4. 같은 집합이 아니라면 해당 간선을 '''MST에 추가'''하고, 두 정점을 하나의 집합으로 합친다. *5. 모든 정점이 연결될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예제== 다음 그래프를 예로 들어 크루스칼 알고리즘의 동작을 살펴보자. 그래프 (정점: A, B, C, D, E, F, G) 간선 리스트: (A-B, 7), (A-D, 5), (B-C, 8), (B-D, 9), (B-E, 7), (C-E, 5), (D-E, 15), (D-F, 6), (E-F, 8), (E-G, 9), (F-G, 11) #간선을 가중치 기준으로 정렬: #*(A-D, 5), (C-E, 5), (D-F, 6), (A-B, 7), (B-E, 7), #*(B-C, 8), (E-F, 8), (B-D, 9), (E-G, 9), (F-G, 11), (D-E, 15) #사이클을 만들지 않으면서 가중치가 작은 간선 선택: #*선택된 간선: (A-D), (C-E), (D-F), (A-B), (B-E), (B-C), (E-G) #최소 신장 트리(MST) 결과: #*(A-D, 5), (C-E, 5), (D-F, 6), (A-B, 7), (B-E, 7), (B-C, 8), (E-G, 9) ==코드 예제== <syntaxhighlight lang="python"> class DisjointSet: def __init__(self, n): self.parent = list(range(n)) self.rank = [0] * n def find(self, u): if self.parent[u] != u: self.parent[u] = self.find(self.parent[u]) return self.parent[u] def union(self, u, v): root_u = self.find(u) root_v = self.find(v) if root_u != root_v: if self.rank[root_u] > self.rank[root_v]: self.parent[root_v] = root_u elif self.rank[root_u] < self.rank[root_v]: self.parent[root_u] = root_v else: self.parent[root_v] = root_u self.rank[root_u] += 1 def kruskal(n, edges): edges.sort(key=lambda x: x[2]) # 간선을 가중치 기준으로 정렬 ds = DisjointSet(n) mst = [] for u, v, weight in edges: if ds.find(u) != ds.find(v): ds.union(u, v) mst.append((u, v, weight)) return mst # 예제 그래프 (정점 0~6) edges = [ (0, 1, 7), (0, 3, 5), (1, 2, 8), (1, 3, 9), (1, 4, 7), (2, 4, 5), (3, 4, 15), (3, 5, 6), (4, 5, 8), (4, 6, 9), (5, 6, 11) ] mst = kruskal(7, edges) print(mst) </syntaxhighlight> 출력 결과 예시: [(0, 3, 5), (2, 4, 5), (3, 5, 6), (0, 1, 7), (1, 4, 7), (4, 6, 9)] ==시간 복잡도== 크루스칼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다. *간선 정렬: O(E log E) *서로소 집합 연산(Find, Union): O(α(V)) (거의 상수 시간) *최종적으로 O(E log E)로 동작 ==응용==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네트워크 설계''' → 최소 비용으로 네트워크 구축 *'''전력망 설계''' → 최소 전선 길이로 모든 도시 연결 *'''이미지 클러스터링''' → 그래프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 ==같이 보기== *[[최소 신장 트리]] *[[프림 알고리즘]] *[[서로소 집합]] ==참고 문헌== *Kruskal, Joseph B. "On the shortest spanning subtree of a graph and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56. *Cormen, Thomas H., et al. "Introduction to Algorithms." MIT Press, 2009. [[분류:알고리즘]] [[분류:트리 이론]] [[분류:그래프 이론]]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