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영어: Cloud‑Native Infrastructure)은 클라우드 환경의 특성과 원칙을 인프라 설계 및 운영에 내재화한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으로, 지속적 변화, 자동화, 확장성, 복원력(resilience)을 중심으로 설계된다. ==개념 및 정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는 단순히 인프라를 클라우드에 올리는 것 이상이다. 이는 인프라가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갖추도록 설계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자동화 및 선언적 정의: [[코드형 인프라|'''코드형 인프라''']] 또는 선언적 API로 정의·관리되어야 한다. *확장성 및 탄력성: 수요 변화에 따라 인프라 자원이 동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해야 한다. *무상태 및 가변 인프라: 상태(state)를 최소화하고, [[서버는 반려동물이 아닌 가축|개별 리소스는 쉽게 교체 가능하며]], 전체 시스템이 특정 인프라의 실패에 강해야 한다. *관찰성(Observability) 및 복구 설계: 로그·모니터링·트레이싱이 내장되어야 하며, 장애 시 자동 복구 또는 우회(fallback) 설계가 되어야 한다.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인프라 유연성: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아우르며 자유롭게 배포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뜻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인프라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이며, 애플리케이션만 클라우드 네이티브라고 해서는 운영·인프라 관점에서의 이점을 온전히 누리기 어렵다. ==필요성 및 배경== *전통적인 인프라 방식에서는 리프트 앤 시프트(lift‑and‑shift) 방식으로만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운영 자동화·확장성·민첩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애플리케이션이 마이크로서비스, 컨테이너화, 서버리스 등으로 진화하면서 인프라도 정적이고 수작업 중심에서 변화 대응형으로 전환되어야 했다. *기업이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신기능을 자주 릴리스하며,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인프라도 ‘클라우드 네이티브’ 원칙에 따라 설계·운영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커졌다. ==주요 구성 요소 및 설계 원칙== ===무상태 인프라 & 가변 리소스=== *인스턴스, 컨테이너, 함수(function) 등은 상태를 최소화하고, 상태가 필요하면 외부 저장소로 분리한다. *리소스는 고정되지 않고, 필요 시 쉽게 교체 가능해야 한다(Immutable infrastructure) ===자동화 및 선언적 정의=== *[[코드형 인프라|인프라 코드화(IaC)]], 선언적 API, 자동화 도구로 인프라를 관리한다. *수작업은 최소화하고, 인프라 생성·배포·변경·삭제 과정을 코드 파이프라인으로 포함시킨다. ===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가 일반적이며,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예: Kubernetes) 위에서 운영된다. ===서비스 메시, 마이크로서비스 및 느슨한 결합===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서비스 간 통신을 관리하는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등의 기술이 포함된다. ===관찰성 및 복원력===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관찰하고 문제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어야 한다.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재시작, 대체 인프라로 전환되는 설계가 있어야 한다(self‑healing)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유연성===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넘나드는 배포 가능성이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 PaaS, SaaS)과 API 기반 자원을 적극 활용한다. ==장점== *빠른 기능 릴리스 및 시장 대응력 향상: 인프라가 자동화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환경을 빠르게 준비할 수 있다. *비용 효율성 및 리소스 탄력성: 수요에 맞춰 리소스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낭비를 줄인다. *확장성과 고가용성 확보: 수평적 확장이 용이하며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을 제거할 수 있다. *운영 복잡성 감소 및 반복 가능한 자동화: 수작업을 줄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다환경 지원 및 포터빌리티: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로 구성된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 유사하게 동작할 가능성이 높다. ==한계 및 고려사항== *분산 시스템의 복잡성 증가: 마이크로서비스, 컨테이너, 메시지 기반 아키텍처 등이 복잡한 운영 및 디버깅을 요구한다. *기술 및 조직 성숙도가 필요: 자동화, 코드화, 관찰성 등의 역량이 없다면 오히려 비용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보안 및 거버넌스 문제: 자동화된 리소스 생성과 분산 환경에서는 보안 제어, 권한 관리, 네트워크 격리 등이 더 까다롭다. *클라우드 비용 관리: 탄력적 리소스는 예측 불가능한 비용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 어려움: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나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식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적용 사례== *컨테이너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플랫폼에서 자동 스케일링 및 장애 복구 구현。 *에지(Edge)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일한 인프라 코드를 사용해 여러 배포 환경을 지원。 *이벤트 기반 서버리스(Function as a Service) 아키텍처에서 인프라 자동 생성 및 삭제 활용。 *관찰성(Logging/Tracing/Monitoring) 플랫폼을 인프라 설계·운영에 포함시켜 “모든 리소스가 관찰 가능”하도록 구성。 ==요약==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는 변동성과 복잡성이 커진 현대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인프라 스트럭처를 코드화하고 자동화하며, 확장성·유연성·복원력을 확보하는 설계·운영 방식이다.단순히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클라우드의 특성을 인프라 수준에서 내재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같이 보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Infrastructure as Code]] *[[DevOps]] *[[Immutable Infrastructure]] ==참고 문헌==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