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파라미터 효율적 미세조정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파라미터 효율적 미세조정'''(Parameter-Efficient Fine-Tuning, '''PEFT''')은 대형 언어모델(LLM) 등 초거대 신경망의 모든 파라미터를 다시 학습시키는 대신, 일부 파라미터만 선택적으로 학습하여 특정 다운스트림(downstream) 태스크에 효율적으로 적응시키는 기법이다.<ref name="lora2022">[https://arxiv.org/abs/2106.09685 Hu, Edward J., et al. "LoRA: Low-Rank Adapta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ICLR (2022).]</ref> ==개요== <nowiki>대형 언어모델은 수십억~수천억 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모두를 재학습(finetune)하려면 막대한 연산 자원과 메모리가 필요하다. PEFT는 사전학습된 기반 파라미터(\(\theta_{\text{base}}\))는 </nowiki>'''고정(freeze)'''<nowiki>하고, 소량의 추가/보정 파라미터(\(\Delta \theta\))만 학습하여 비용을 크게 줄인다. \(\theta' = \theta_{\text{base}} + \Delta \theta\)</nowiki> ==주요 기법== === [[Adapter 미세조정|'''Adapter''' (2019, Houlsby et al.)]] === *각 Transformer 레이어에 작은 '''병목(bottleneck) 모듈'''을 삽입하여 그 모듈만 학습한다. **구조: feed-forward up-project → 비선형 활성화 → feed-forward down-project + skip-connection. **삽입 위치: Self-Attention/Feed-Forward 사이에 두 번 삽입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학습 파라미터 비율은 원 모델 대비 약 0.5%~8% 수준이며, 태스크별 adapter만 교체하여 멀티태스크 운용이 가능하다. ===[[LoRA (인공지능)|'''LoRA''' (Low-Rank Adaptation, ICLR 2022)]]=== *선형 변환 \(W \in \mathbb{R}^{E \times E}\)를 고정하고, 저랭크 보정 \(\Delta W = B A\)를 학습한다. **수식: \(h = W_0 x + \Delta W x = W_0 x + B A x\) **차원: \(A \in \mathbb{R}^{E \times r}, B \in \mathbb{R}^{r \times E}, r \ll E\) (예: r=4). **적용 위치: Self-Attention의 Q/K/V 및 MLP의 선형층. **연산/저장 측면: 학습 시 전체 가중치 미세조정보다 큰 절감을 달성하며, \(B A\)를 \(W_0\)에 병합(merge)하여 추가 저장 공간 없이 추론 가능. **추가 파라미터 비율은 약 0.1% 내외이다. ===[[BitFit|'''BitFit''' (ACL 2022)]]=== *가장 단순한 PEFT 기법으로, 모든 weight를 고정하고 각 층의 bias 항만 학습한다. **BERT 기준 bias 파라미터는 전체의 약 0.09%를 차지한다. **단순 텍스트 분류 등에서 full fine-tuning에 근접하거나 때로는 초과하는 성능을 보인다. ==비교== {| class="wikitable" !기법!!학습되는 파라미터 비율(예시)!!구조 수정/삽입!!주요 적용 위치!!장점!!단점 |- |LoRA||약 0.1%||선형층 내부 저랭크 보정(BA)||Q/K/V, MLP||고성능·저비용, 추론 시 merge 가능||rank·적용 위치 튜닝 필요 |- |Adapter||0.5%~8%||bottleneck 모듈 + skip 삽입(레이어당 1~2개)||블록 사이(ATTN/FFN)||모듈 교체로 멀티태스크 용이||약간의 추론 지연·파라미터 증가 |- |BitFit||약 0.09% (BERT 기준)||구조 변경 없음(bias만 학습)||전 층 bias||극단적 효율성과 간편함||복잡 태스크에서 성능 한계 |} ==장점== *전체 미세조정 대비 GPU 메모리 및 학습 비용을 대폭 절감한다(최대 90% 이상). *베이스 모델을 공유하면서 태스크별 모듈(어댑터·LoRA 등)만 추가·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온디바이스·멀티태스크·개인화(personalization) 학습 환경에서 적합하다. ==한계 및 고려사항== *베이스 파라미터가 고정되어 있어 표현력 확장이 제한될 수 있다. *rank(LoRA), 모듈 크기(Adapter), 적용 위치 등의 선택은 경험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일부 고난도 태스크에서는 full fine-tuning 대비 1~3% 성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응용== *[[대형 언어 모델|대형 언어모델 (LLM)]]의 효율적 파인튜닝(요약, QA, 번역 등) *멀티태스크 환경에서 태스크별 모듈 교체 *온디바이스 개인화(personalization) *멀티모달 모델(CLIP 등)과의 결합 ==관련 개념== * ==참고 문헌== *Hu, Edward J., et al. "LoRA: Low-Rank Adapta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ICLR (2022). <ref name="lora2022" /> *Houlsby, Neil, et al. "Parameter-efficient transfer learning for NLP." PMLR (2019). *Zaken, Elad Ben, et al. "BitFit: Simple Parameter-efficient Fine-tuning for Transformers." ACL (2022). *Dettmers, Tim, et al. "QLoRA: Efficient Finetuning of Quantized LLMs." NeurIPS (2023). [[분류:인공지능]] [[분류:딥 러닝]] <references />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