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환 (수학)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환'''(環, ring)은 두 개의 이항 연산(덧셈과 곱셈)이 정의되어 있는 대수 구조로, 정수의 성질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환은 군, 체 등의 개념과 함께 추상대수학에서 기본적인 구조로 다루어진다. ==정의== 집합 R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R, +, *)는 환(ring)이라고 한다. ===1. (R, +)는 아벨 군=== *덧셈 + 에 대해 닫힘성,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0이라는 항등원이 존재하고, 각 원소 a에 대해 -a라는 역원이 존재한다. *교환법칙 a + b = b + a 가 성립한다. ===2. 곱셈 *에 대해 다음이 성립=== *곱셈에 대해 닫힘성: a * b ∈ R *곱셈에 대해 결합법칙: (a * b) * c = a * (b * c) *분배법칙: a * (b + c) = a * b + a * c, (a + b) * c = a * c + b * c ※ 곱셈에 대한 항등원(1)이나 역원(a⁻¹)은 환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조건이 추가되면 다른 구조(예: 유리수의 체)가 된다. ==환의 종류== *'''단위원 환''' (unit ring) :곱셈 항등원 1이 존재하는 환. 예: 정수 Z *'''환이지만 곱셈 항등원이 없는 구조''' :예: 2×2 영행렬의 집합 *'''곱셈이 가환인 환''' (가환환, commutative ring) :a * b = b * a 가 모든 a, b에 대해 성립 *'''체(field)''' :가환환 + 모든 0이 아닌 원소가 곱셈 역원을 가질 때 *'''나눗셈환(division ring)''' :곱셈 역원은 존재하지만 곱셈이 가환이 아닐 수도 있음 (예: 쿼터니언) ==예시== *정수의 집합 Z: 가환 단위원 환 *유리수, 실수, 복소수: 모두 체이며 따라서 환 *행렬의 집합 M(n, R): 일반적으로 환이지만 체는 아님 (역원이 항상 존재하지 않음) *다항식의 집합 R[x]: 계수가 R에 속하는 모든 다항식들의 집합 → 가환환 ==환과 관련된 개념== *'''이상(ideal)''' :환의 부분집합으로, 나눗셈 연산 없이 나머지 구조를 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개념 *'''동치류와 몫환''' :이상을 기준으로 환을 나누어 만든 새로운 환 *'''동형사상''' :환 사이의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 *'''체''' :덧셈과 곱셈 모두에서 항등원과 역원이 존재하는 더 강한 구조 ==같이 보기== *[[군 (수학)]] *[[체 (수학)]] *[[대수 구조]] *[[이상 (수학)]] *[[동형사상]] ==참고 문헌== *Hungerford, T. W. (1974). ''Algebra''. Springer. *Dummit, D. S., & Foote, R. M. (2004). ''Abstract Algebra''. Wiley. [[분류:수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