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네트워크]]
;Contents Delivery Network
;Contents Delivery Network
이용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캐시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이용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캐시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유사 개념 [[엣지 컴퓨팅]] [[포그 컴퓨팅]]
* 유사 개념 [[엣지 컴퓨팅]]
** 엣지 컴퓨팅 = CDN + [[IoT]] + [[클라우드]]
** 엣지 컴퓨팅 = CDN + [[IoT]] + [[클라우드]]


== 구성 ==
== 구성 ==
[[파일:글로벌 로드 밸런싱.jpg|500px]]
* 캐시 서버
* 캐시 서버
* GLB(Global Load Balancer)
* Pull/Push
* SLB(Server Load Balancer)
* CLB(Content Load Balancer)
* 모니터링/관리 시스템
 
== 기술 요소 ==
* 캐싱
* 로드 밸런싱
* 라우팅
* 스트리밍


== 동작 ==
== 동작 ==
* Caching Pull: CDN에서 캐시 미스 발생 시 컨텐츠 요청
* Caching Pull: CDN에서 캐시 미스 발생 시 컨텐츠 요청
* Caching Push: 서버에서 CDN으로 컨텐츠 전달
* Caching Push: 서버에서 CDN으로 컨텐츠 전달
== 캐싱 방식 분류 ==
{| class="wikitable"
|-
! 분류 !! 설명
|-
| Static Caching ||
* 서버의 요청이 없어도 필요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해두는 방식
* 컨텐츠 제공자가 자체 운영하는 CDN은 이 방식을 많이 사용
* 빠른 속도 보장, 자원 과다 사용
|-
| Dynamic Caching ||
* 사용자가 요청을 했는데 없으면 Caching Pull/Push
* 일정 시간동안 요청이 없으면 삭제
* CDN 전문 업체의 서비스는 이 방식을 기본적으로 사용
* 자원의 효율적 사용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원본 주소 "https://itwiki.kr/w/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