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CSR (압축)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CSR (Compressed Sparse Row, 압축 행 기준)은 희소 행렬을 저장하고 연산할 때 행 중심 접근을 빠르게 지원하는 압축 저장 방식이다. ==개념== CSR은 행렬의 각 행(row)에 대해, 0이 아닌 원소(nonzero)들만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각 행이 시작하는 지점을 인덱스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행 접근(row slicing)이나 행 단위 연산(예: 행‑벡터 곱셈)에 효율적이다. ==구성 요소== CSR 방식은 보통 다음 세 개의 1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희소 행렬을 표현한다: *'''values''' — 행렬의 0이 아닌 원소들의 값을 저장한 배열 *'''colIndex''' — 각 비제로 원소가 속한 열(column) 번호를 저장한 배열 *'''rowPtr''' — 각 행이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배열 (행 시작 인덱스) rowPtr의 길이는 (행의 개수 + 1)이며, rowPtr[i]는 values 및 colIndex 배열 내에서 i번째 행의 첫 번째 비제로 원소가 저장된 인덱스를 가리킨다. 마지막 rowPtr[n]은 전체 비제로 원소 수, 즉 values 배열의 길이와 같다. ==동작 원리 및 접근== 행 i의 원소들을 순회하거나 접근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된다: #시작 인덱스 = rowPtr[i] #끝 인덱스 = rowPtr[i+1] #values[k] 및 colIndex[k] (k = 시작 인덱스부터 끝 인덱스 − 1 까지)들을 통해: ##(i, colIndex[k]) 위치에 값 values[k] 존재 ##나머지 위치는 0 ==장점== *행 중심 접근이 빠르다 — 행 벡터 곱(row-vector multiplication)에 유리하다 *메모리 절약 — 0 원소는 저장하지 않으므로 공간 효율성 증가 *행 범위 인덱싱(row slicing) 및 행 연산에 유리하다 ==단점== *열 방향 접근(column slicing)은 비효율적이다 — 열 인덱스를 직접 탐색해야 한다 *희소 구조 변경(예: 새로운 비제로 원소 삽입/삭제) 시 비용이 크다 *인덱스 배열 관리와 포인터 연산에 따른 오버헤드 존재 ==응용 및 구현 사례== *수치 해석, 선형 대수 계산, 그래프 인접 행렬 표현 등에서 널리 쓰인다 *Python의 SciPy 패키지에서 csr_matrix로 구현되어 있다 *CSR5 형식 등 고성능 개선 버전들이 연구되고 있다 ==같이 보기== *[[CSC (압축)]] *[[희소 행렬 압축]] *[[신경망 가지치기]] *[[모델 압축]] ==참고 문헌== *Wei, Y., Zhang, W., Li, Z., & Zhang, J. (2016). “Efficient Sparse Matrix-Vector Multiplication on GPUs using the CSR5 Format.” *SciPy Documentation: scipy.sparse.csr_matrix [[분류:데이터]] [[분류:압축]]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