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DoReFa-Net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DoReFa-Net'''은 저정밀도 신경망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으로, 가중치(weight), 활성값(activation), 그리고 그래디언트(gradient)를 모두 저비트 정밀도에서 표현하여 연산 효율과 메모리 사용량을 크게 줄이는 방법이다.<ref name="zhou2016">[https://arxiv.org/abs/1606.06160 Zhou, Shuchang, et al. "DoReFa-Net: Training Low Bitwid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 Low Bitwidth Gradients." arXiv preprint arXiv:1606.06160 (2016).]</ref> ==개요== DoReFa-Net은 기존의 Binarized Neural Network (BNN)나 XNOR-Net과 달리, 단순히 이진화된 가중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중치(Weight), 활성값(Activation), 그래디언트(Gradient) 를 각각 다른 비트폭(bitwidth)으로 양자화하여 훈련과 추론 모두를 저정밀도 연산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핵심 아이디어== *학습과정 전반(Forward, Backward, Update)에서 부동소수 연산(FP32)을 최소화. *각 요소별로 별도의 양자화 함수를 적용하여 표현 범위를 제한하면서도 미분 가능하도록 설계. *저비트 연산 환경(CPU, FPGA, ASIC, Mobile 등)에서 CNN을 효율적으로 구동 가능. ==양자화 함수== DoReFa-Net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요 구성요소를 각기 다른 양자화 방식으로 처리한다. ===1. 가중치 양자화 (Weight Quantization)=== 가중치는 [-1, 1] 범위에서 비트폭 k_w 로 균등 양자화된다. \[ w_q = 2 \cdot Q_k\left(\frac{\tanh(w)}{2\max(|\tanh(w)|)} + \frac{1}{2}\right) - 1 \] 여기서 \( Q_k(x) = \frac{1}{2^k - 1} \text{round}((2^k - 1)x) \) 은 k-bit 균등 양자화 연산자이다. ===2. 활성값 양자화 (Activation Quantization)=== 활성값은 [0,1] 구간에서 비트폭 k_a 로 양자화되며, 시그모이드 계열 함수의 출력과 잘 맞도록 설계되었다. \[ a_q = Q_{k_a}(\text{clip}(a, 0, 1)) \] ===3. 그래디언트 양자화 (Gradient Quantization)=== 그래디언트는 역전파 시에도 저비트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확률적(stochastic) 양자화를 사용한다. \[ g_q = 2Q_{k_g}\left(\frac{\tanh(g)}{2\max(|\tanh(g)|)} + \frac{1}{2}\right) - 1 \] 이 확률적 양자화는 미분의 불연속성을 완화하여 학습 안정성을 확보한다. ==특징 및 장점== *'''End-to-End 저정밀 학습 가능''' — FP32 연산에 의존하지 않고 forward/backward 모두 저비트로 처리. *'''하드웨어 효율성''' — 8-bit 이하에서도 성능 유지, FPGA 및 모바일 환경에 적합. *'''범용성''' — 다양한 CNN 구조(AlexNet, ResNet 등)에 적용 가능. *'''속도 향상''' — 곱셈·덧셈 연산량 대폭 감소(MAC 수 약 3~5배 절약). ==한계== *극단적인 저비트(예: 1~2bit)에서는 정확도 손실이 발생. *Softmax나 BatchNorm 등 일부 연산은 여전히 FP32 정밀도로 유지해야 안정적. *학습 초기 수렴이 느리며, LR(warmup) 조정 필요. ==참고 문헌== *Zhou, Shuchang, et al. "DoReFa-Net: Training Low Bitwid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 Low Bitwidth Gradients." arXiv preprint arXiv:1606.06160 (2016). *Courbariaux, Matthieu, et al. "Binarized Neural Networks: Training Deep Neural Networks with Weights and Activations Constrained to +1 or −1." arXiv (2016). *Rastegari, Mohammad, et al. "XNOR-Net: ImageNet Classification Using Binar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ECCV (2016). == 각주 == [[분류:인공지능]] [[분류:딥 러닝]]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