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2020년 AI 7대 트렌드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구성 ==
== 구성 ==
=== 정치 ===
=== 정치 ===
;또 다른 선택, 중국 AI
;또 다른 선택, 중국 AI
* 데이터 관점에서 자신만의 AI 색채를 만들기 시작한 중국은 강력한 AI 확산정책으로 단숨에 AI 2대 강대국 진입
* 데이터 관점에서 자신만의 AI 색채를 만들기 시작한 중국은 강력한 AI 확산정책으로 단숨에 AI 2대 강대국 진입
12번째 줄: 11번째 줄:


=== 경제 ===
=== 경제 ===
; 증강 분석과 다크 데이터
; 증강 분석과 다크 데이터
* AI 기반의 증강분석은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전망
* AI 기반의 증강분석은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전망
24번째 줄: 22번째 줄:


=== 기술 ===
=== 기술 ===
; 자율지능의 미래, AI 호문쿨루스
; 자율지능의 미래, AI 호문쿨루스
* 인간의 지능이 신체의 형태 및 기능과 연관을 맺고 있듯이 AI 역시 기계장치와 유기적 연관을 맺으며 발전
* 인간의 지능이 신체의 형태 및 기능과 연관을 맺고 있듯이 AI 역시 기계장치와 유기적 연관을 맺으며 발전
* AI가 깃든 몸이 자동차, 드론, 로봇팔 등으로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능력을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
* AI가 깃든 몸이 자동차, 드론, 로봇팔 등으로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능력을 새로운 방식으로 학습
; AI 칩이 정의하는 컴퓨팅 폼팩터
; AI 칩이 정의하는 컴퓨팅 폼팩터
* AI에 특화된 연산장치로서 [[GPU]], [[ASIC]], [[FPGA]], [[뉴로모픽]]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 중
* AI에 특화된 연산장치로서 GPU, ASIC, FPGA, 뉴로모픽칩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 중
* 뉴로모픽칩 상용화 시점 예측은 어려우며, 중단기적으로 프로그래밍 용이성, 연산속도라는 장점을 각각 가진 GPU, ASIC(또는 ASSP) 등이 병존하는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
* 뉴로모픽칩 상용화 시점 예측은 어려우며, 중단기적으로 프로그래밍 용이성, 연산속도라는 장점을 각각 가진 GPU, ASIC(또는 ASSP) 등이 병존하는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