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LB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DNS를 이용한 [[부하 분산|로드 밸런싱]] 기술'''
'''DNS를 이용한 [[부하 분산|로드 밸런싱]] 기술'''


==개요==
== 개요 ==
[[파일:GSLB 동작 개요.png]]
<br />


*GSLB는 전통적인 DNS와 같이 동작하며 추가적으로 health check와 active/backup을 지정 가능하게 하여 재해 복구(DR), 지역적인 부하분산, 응답시간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
* GSLB는 전통적인 DNS와 같이 동작하며 추가적으로 health check와 active/backup을 지정 가능하게 하여 재해 복구(DR), 지역적인 부하분산, 응답시간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
*전통적인 L4/L7을 이용한 로드밸런싱과 같이 다양한 정책을 설정할 수 있고 active/actvie, active/stand-by 모두 지원
* 전통적인 L4/L7을 이용한 로드밸런싱과 같이 다양한 정책을 설정할 수 있고 active/actvie, active/stand-by 모두 지원


==DNS 설정 방법==
== DNS 설정 방법 ==


*별칭(Alias) 사용(CNAME 레코드 사용)
* 별칭(Alias) 사용(CNAME 레코드 사용)
*위임(Delegation) 사용(NS 레코드 사용)
* 위임(Delegation) 사용(NS 레코드 사용)


==로드 밸런싱 정책==
== 로드 밸런싱 정책 ==
'''FAILOVER'''
'''FAILOVER'''


*GSLB 도메인에 연결된 Pool의 우선순위에 따라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 GSLB 도메인에 연결된 Pool의 우선순위에 따라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RANDOM'''
'''RANDOM'''


*GSLB 도메인에 연결된 Pool 중 사용 가능한 Pool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 GSLB 도메인에 연결된 Pool 중 사용 가능한 Pool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GEOLOCATION'''
'''GEOLOCATION'''


*고객이 Pool에 매핑한 Geolocation 정보를 기반으로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 고객이 Pool에 매핑한 Geolocation 정보를 기반으로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Geolocation 설정이 없는 경우 Pool의 우선순위로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 Geolocation 설정이 없는 경우 Pool의 우선순위로 DNS 응답을 제공합니다.


==참고 문헌==
== 참고 문헌 ==


*[https://thebook.io/007046/ch07/03/02-01/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 [https://thebook.io/007046/ch07/03/02-01/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https://cloud.kt.com/portal/user-guide/network-GSLB-intro KT Cloud GSLB 상품 개요]
*  
*


==각주==
== 각주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원본 주소 "https://itwiki.kr/w/GSL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