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S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침입탐지시스템]]
==개요==
* Intrusion Detection System
* 네트워크 또는 호스트로의 비정상적인 접근을 탐지하는 시스템
 
==긍정오류와 부정오류==
IDS와 같이 탐지만을 하는 시스템이 있는 오류는 탐지란 것이 완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 긍정오류(False Positive) : 정상적인 접근을 비정상적인 접근이라고 잘못 판단
* 부정오류(False Negative) : 비정상적인 접근을 정상적인 접근이라고 잘못 판단
 
==실행 4단계==
# 데이터 수집(Raw Data Collection)
# 데이터 가공 및 축약(Data Reduction and Filtering)
# 침입 분석 및 탐지(Intrusion Analysis and Detection)
# 보고 및 대응(Reporting and Response)
 
 
==탐지방법에 의한 분류==
===지식기반 침입탐지===
*비정상 행위에 대한 패턴을 입력하여 일치하는 패턴을 탐지한다.
**전문가 시스템(Knowledge-based Detection)
**상태전이 모델
**패턴 매칭(Signature-based Detection)
*장단점
**오탐률이 낮다.
**새로운 패턴은 탐지 불가
**속도 느림
* 비정상 행위 탐지(Anomaly Detection)이라고도 부른다.
 
===행위기반 침입탐지===
*정상 행위와 비정상 행위를 프로파일링 하여 통계 및 AI를 이용하여 정상/비정상을 구분한다.
**통계적 분석
**예측 가능한 패턴 생성
**신경망 모델
*장단점
**패턴 자동 업데이트
**새로운 패턴 탐지 가능
**오탐률이 높음
**정상/비정상 기준 수립이 힘듦
* 오용탐지(Misuse Detection) 이라고도 부른다.
 
 
==데이터 수집원에 의한 분류==
===네트워크 기반 IDS===
; Network Based IDS(N-IDS)
IDS장비를 네트워크 앞단에 설치해 두고 네트워크에서 오가는 트래픽들을 분석
* '''특징'''
**네트워크 전체를 몇개의 감지기를 통해 커버하므로 비용이 저렴하다.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흘러가는 트래픽을 수집하여 분석하므로 해커가 임으로 지우기 어렵다.
**암호화된 트래픽은 분석이 불가능하다.
**고속 네트워크에선 패킷 손실이 많다.
**호스트 내부에서 벌어지는 비정상적인 행위에 대해선 감지가 불가능하다.
 
===호스트 기반 IDS===
; Host Based IDS(H-IDS)
특정 호스트시스템에서 수집된 감사자료를 분석하고 비정상 행위를 탐지
*'''특징'''
**탐지가 정확하다. N-IDS와 다르게 모두 복호화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킷의 손실도 없다.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운영체제에 종속적이다. (리눅스 전용 IDS면 윈도우 서버에선 못 쓴다.)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한다.
**구현이 어렵다.
 
==다중 호스트 기반 IDS ==
; Multi-Host Based IDS
여러 호스트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비정상 행위를 탐지
* H-IDS에 N-IDS적인 성격을 더한 IDS
* 대상 호스트들에 Agent를 설치하고, 대상 호스트들이 속한 네트워크에 종합 분석용 서버를 둔다.
* 서버에선 여러 호스트들에서서 수집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 여러 호스트를 통하여 침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 다중 H-IDS에 대비하여 일반 H-IDS를 단일(Single) H-ID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기타 ==
* 상태 추적 기능(Stateful Inspection)
** 패킷 필터링의 단점인 세션(session)에 대한 추적 기능을 보완한다.
** 메모리상에 상태 추적 테이블을 만들어 단일 패킷이 아닌 뒤따르는 커넥션을 종합하여 평가한다.
** 이스라엘 보안업체인 checkpoint 사에서 최초로 개발한 기능으로, 요즘은 대부분의 IDS에서 제공한다.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원본 주소 "https://itwiki.kr/w/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