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S-P 주요 암기사항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ISMS-P 인증심사원 주요 암기사항]]
== 암기 사항 ==
 
==== 법률 근거 ====
 
* 정보통신망법 제47조(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인증)
* 정보통신망법 제47조의2(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심사기관의 지정취소 등)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47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의 방법ㆍ절차ㆍ범위 등)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48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의 수수료)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49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대상자의 범위)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1조(인증의 사후관리)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2조(인증표시 및 홍보)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3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심사기관의 지정기준)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3조의2(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심사기관의 지정절차 등)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3조의3(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심사기관 지정의 유효기간)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3조의4(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심사기관의 사후관리)
*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54조(지정취소 등의 기준)
*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의2(개인정보 보호 인증)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2(개인정보 보호 인증의 기준ㆍ방법ㆍ절차 등)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3(개인정보 보호 인증의 수수료)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4(인증취소)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5(인증의 사후관리)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6(개인정보 보호 인증 전문기관)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7(인증의 표시 및 홍보)
*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8(개인정보 보호 인증심사원의 자격 및 자격 취소 요건)
 
==== 기간 등 숫자 ====
 
* ISMS 의무대상자 인증 의무 취득기간은 차년도 '''8.31.'''까지
* 보완조치 기간 '''40일''', 재조치 요구기간 '''60일''' (총 '''100일''')
*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15일''' 이내
* 심사위원회 후 '''30일''' 이내 보완조치 요구
* 사후심사 '''1년''' 주기
* 갱신심사 '''3년''' 주기
* 갱신심사는 유효기간 만료 '''3개월''' 전에 신청
 
==== 헷갈리는 심사 기준 ====
 
* '''잘못된 정보보호위원회 구성 따른 의결로 정보보호 정책이 수립되어 경영진 보고 없이 정책이 배포된 경우,'''
** 가장 근본적인 조직 구성 결함 사례로 봄
** (참고) 관련 인증 기준
*** 잘못된 정보보호위원회 구성 = [[ISMS-P 인증 기준 1.1.3.조직 구성]]
*** 잘못된 정보보호 정책 수립 = [[ISMS-P 인증 기준 1.1.5.정책 수립]]
*** 경영진 보고 누락 = [[ISMS-P 인증 기준 1.1.1.경영진의 참여]]
*** 잘못된 보호대책 공유 = [[ISMS-P 인증 기준 1.3.2.보호대책 공유]]
* '''잘못된 배포과정을 통해 업데이트된 시스템이 운영에 배포되어 장애가 발생한 경우,'''
** 배포 과정에 따른 잘못은 변경관리 결함 사례로 봄
** (참고) 관련 인증 기준
*** 잘못된 배포 과정 = [[ISMS-P 인증 기준 2.9.1.변경관리]]
*** 잘못된 운영 반영 = [[ISMS-P 인증 기준 2.8.6.운영환경 이관]]
* '''업무용 단말에 보안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잘못된 예외처리로 보안 결함이 발생한 경우,'''
** 보안 시스템 운용 결함 사례로 봄
** (참고) 관련 인증 기준
*** 잘못된 단말 보안 = [[ISMS-P 인증 기준 2.10.6.업무용 단말기기 보안]]
*** 잘못된 예외처리 운영 = [[ISMS-P 인증 기준 2.10.1.보안시스템 운영]]
 
==== 기타 오답 ====
 
* 인증기관은 인증만 수행 가능하며, 심사기관은 심사만 수행 가능하도록 권한을 분리하여 운영한다.
* 인증위원회는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제47조 및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4조의2에 따라 심사기관에서 인증심사 결과 등을 심의하고 의결하기 위해 운영하는 조직이다.
*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의무 대상자 중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사업자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받아야 한다.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