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Storage Area Network
'''Storage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 수준으로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토리지용 고속 네트워크


==장점==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 수준으로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토리지용 고속 네트워크'''


*스토리지 트래픽을 LAN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 향상
== 장점 ==
*기업이 스토리지 리소스를 더 쉽게 할당 및 관리할 수 있고 효율적 아카이빙 가능
*여러 서버에 걸쳐 독립된 스토리지를 운영하는 대신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풀을 만들어 공유하거나 필요한 만큼 분할 가능


==SAN의 구성==
* 스토리지 트래픽을 LAN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 향상
===구성도===
* 기업이 스토리지 리소스를 더 쉽게 할당 및 관리할 수 있고 효율적 아카이빙 가능
* 여러 서버에 걸쳐 독립된 스토리지를 운영하는 대신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풀을 만들어 공유하거나 필요한 만큼 분할 가


*[[SAN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러 스토리지를 네트워크로 연결
== SAN의 구성 ==


[[파일:SAN 환경 기본 개념도.png|500px]]
* 서로 연결된 호스트와 스위치, 스토리지 기기로 구성
* 구성요소는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 가능
** 파이버 채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
**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
*** 스토리지와 IP 프로토콜을 단일 인프라로 변환해 기업이 기존 고속 이더넷을 통해 파이버 채널 트래픽 이동 가능
** iSCSI(Internet Small Computing System Interface): 중소중견기업(SMB)에서 사용
** 인피니밴드(InfiniBand):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


===블록 스토리지===
== 현황 ==


;SAN 환경에서는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라는 개념을 사용
* 많은 벤더에서 저가 혹은 보급형 SAN 스위치 출시
* 대용량과 고성능을 지원해야 하는 엔터프라이즈 SAN 제품 출시
** 델 EMC, HPE, IBM, 퓨어 스토리지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
*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SAN 정의에 따르면 SAN은 2개 티어로 구성된다.
*각 블록들은 저장된 위치(특정 스토리지 시스템의 특정 디스크)에 대한 주소를 가짐
** 1. 스토리지 플럼빙 티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연결을 맡아 기기 고유의 명령과 상태를 수행하고 전달. 최소한 스토리지 노드 1개는 이 네트워크와 연결돼 있어야 한다.
*서버의 요청에 따라 블록들을 재구성해 하나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달
** 2. 소프트웨어 티어: 첫번째 티어 전반을 운영하는 부가 서비스 수행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영역


===연결===
== [[NAS]]와 SAN의 차이점 ==
 
*서로 연결된 호스트와 스위치, 스토리지 기기로 구성
*구성요소는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 가능
**파이버 채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
***스토리지와 IP 프로토콜을 단일 인프라로 변환해 기업이 기존 고속 이더넷을 통해 파이버 채널 트래픽 이동 가능
**iSCSI(Internet Small Computing System Interface): 중소중견기업(SMB)에서 사용
**인피니밴드(InfiniBand):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
 
== 장단점 ==
{| class="wikitable"
!장점
!단점
|-
|
*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이 빠름
|
* 상대적으로 비쌈
|-
|
* 필요에 따라서 성능과 용량을 확장하기가 용이함
|
* 이더넷과 광 케이블 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영하여 관리 부담 가중
|-
|
* LAN을 사용하지 않아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
|
* 관리하는데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함
|-
|
* 가상화<sup>1</sup> 환경을 구축하기 적합함
|
* 블록 백업에 스토리지 공간이 더 요구됨
|}
 
==현황==
 
*많은 벤더에서 저가 혹은 보급형 SAN 스위치 출시
*대용량과 고성능을 지원해야 하는 엔터프라이즈 SAN 제품 출시
**델 EMC, HPE, IBM, 퓨어 스토리지 등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SAN 정의에 따르면 SAN은 2개 티어로 구성된다.
**1. 스토리지 플럼빙 티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연결을 맡아 기기 고유의 명령과 상태를 수행하고 전달. 최소한 스토리지 노드 1개는 이 네트워크와 연결돼 있어야 한다.
**2. 소프트웨어 티어: 첫번째 티어 전반을 운영하는 부가 서비스 수행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영역
 
==[[NAS]]와 SAN의 차이점==
공통점은 SAN과 NAS(network-attached storage)는 모두 네트워크 기반 스토리지 솔루션이라는 것
공통점은 SAN과 NAS(network-attached storage)는 모두 네트워크 기반 스토리지 솔루션이라는 것


*SAN은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 연결을 이용
* SAN은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 연결을 이용
*NAS는 표준 이더넷 연결을 이용
* NAS는 표준 이더넷 연결을 이용
*SAN은 블록 수준에서 데이터를 저장
* SAN은 블록 수준에서 데이터를 저장
*NAS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 접속
* NAS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 접속
*SAN은 일반적으로 디스크로 나타나며 별도로 구성된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로 인식
* SAN은 일반적으로 디스크로 나타나며 별도로 구성된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로 인식
*NAS는 클라이언트 OS에 파일 서버로 표시
* NAS는 클라이언트 OS에 파일 서버로 표시
 
*SAN은 데이터베이스 같은 구조화된 워크로드를 위해 사용
*NAS는 일반적으로 비디오와 의료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에 사용
 
==참고 문헌==


*http://www.ciokorea.com/news/37369#csidx7c1841454df2592aed7d1f67f95e3a1
* SAN은 데이터베이스 같은 구조화된 워크로드를 위해 사용
*https://tech.gluesys.com/blog/2019/12/02/storage_1_intro.html
* NAS는 일반적으로 비디오와 의료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에 사용


== 참고 문헌 ==
<nowiki>http://www.ciokorea.com/news/37369#csidx7c1841454df2592aed7d1f67f95e3a1</nowiki>
[[분류:하드웨어]]
[[분류:하드웨어]]
[[분류:네트워크]]
[[분류:네트워크]]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원본 주소 "https://itwiki.kr/w/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