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SRT (프로세스 스케줄링)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SRT(Shortest Remaining Time, 최단 잔여 시간 우선)는 프로세스 스케줄링에서 '''가장 남은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우선 할당하는 선점형 알고리즘'''이다. SJF (Shortest Job First)의 선점형 버전이며,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식으로 간주된다. ==개념== *프로세스가 도착하거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잔여 실행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있다면 선점''' *잔여 시간이 짧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미래 정보(정확한 실행 시간)를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성능이 최적화됨 ==동작 방식== #프로세스가 새로 도착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잔여 시간과 비교 #*새 프로세스의 남은 실행 시간이 더 짧으면 선점 발생 #*그렇지 않으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유지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예시== 프로세스 정보: {| class="wikitable" !프로세스!!도착 시간!!실행 시간 |- |P1||0||8 |- |P2||1||4 |- |P3||2||2 |}스케줄링 결과: *0–1: P1 실행 *1–2: P2 도착 → P2가 P1보다 짧음 → P2로 선점 *2–4: P3 도착 → P3가 P2보다 짧음 → P3로 선점 *4–6: P2 재개 *6–14: P1 재개 ==장점== *평균 대기 시간과 평균 응답 시간이 짧아짐 *짧은 작업이 길게 기다리는 일이 없음 ==단점== *실행 시간을 정확히 예측해야 하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긴 작업은 계속해서 선점당할 수 있어 '''기아(starvation)''' 발생 가능 *프로세스가 자주 선점되면 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 증가 ==실제 활용== *실제 운영체제는 실행 시간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SRT는 [[MLFQ]], [[완전공정 스케줄러(CFS)]] 등의 스케줄러 설계에 참고되는 이론적 모델로 사용됨 ==SRT vs SJF== {| class="wikitable" !항목!!SJF!!SRT |- |선점 여부||비선점형||선점형 |- |교체 시점||현재 프로세스 종료 시||더 짧은 잔여 시간의 새 프로세스 도착 시 |- |응답 시간||길어질 수 있음||더 짧음 |} ==같이 보기== *[[SJF (프로세스 스케줄링)]] *[[FCFS (프로세스 스케줄링)]] *[[라운드 로빈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 스케줄링]] *[[선점형 스케줄링]] ==참고 문헌== *Silberschatz, A., Galvin, P. B., & Gagne, G. (2020). Operating System Concepts. Wiley *Tanenbaum, A. S., & Bos, H. (2014). Modern Operating Systems. Pearson [[분류:운영체제]] [[분류:프로세스 관리]]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