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WPA3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분류:네트워크]][[분류:보안]][[분류:정보보안기사]][[분류:무선 통신]] ;Wi-Fi Protected Access 3 == 주요 특징 == * '''공공 와이파이 보호''': 비밀번호가 없는 Public WiFi 또한 암호화 * '''KRACK 취약점 해결''': [[WPA2]]의 구조적 취약점 해결, [[무차별 대입 공격]] 방지 == 이전 버전 대비 개선 == {| class="wikitable" ! 구분 ! WPA2 ! WPA3 |- | 암호화 | AES-CCMP | AES-GCMP 추가 |- | 키 길이 | 128bit | 256bit 추가 |- | 키 교환 | PSK | SAE |- | 개방 WiFi | 비암호화 | 암호화 |} == 스펙 구성 == * '''WPA3-퍼스널(WPA3-Personal)''': PSK(Pre-Shared Key) 인증을 SAE(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로 대체 ** 단순한 비밀번호 사용시에도 [[무차별대입공격]] 방지 * '''WPA3-엔터프라이즈(WPA3-Enterprise)''':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위해 192bit 강화된 암호화 * '''이지 커넥트(Easy Connect)''': IoT 센서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없는 디바이스의 페어링 프로세스 간소화 * '''인핸스드 오픈(Enhanced Open)''': 개방 와이파이 핫스팟 네트워크의 암호화를 위한 옵션 == 취약점 == {| class="wikitable" ! 구분 ! 세부 내용 |- | 명명 | * Dragonblood |- | 원인 | * SAE에서 제공하는 WPA2와의 호환성 악용 * 캐시 기반의 부채널 공격(비밀번호 분할 공격) |- | CVE | * CVE-2019-9494~9 |- | 영향 검토 | * WPA2의 KRACK은 구조적인 문제로 완벽한 조치 불가한데 반해 * Dragonblood는 발생 가능성 낮으며 펌웨어 패치로 조치 가능 * WPA3로의 업그레이드 제약사항은 되지 않으므로 업그레이드 권장 |- | 업데이트 | * [https://www.wi-fi.org/ko/2019-4 https://www.wi-fi.org/ko/2019-4] |} * WiFi Alliance는 본 취약점이 현실적으로 발생하기 힘들다고 주장하였으며 알려진 사례는 없다고 공지 * 패치가 가능하므로 WPA2에서 WPA3로 업그레이드 제약은 되지 않으나, 장기간 검증된 WPA2에 비해 WPA3는 보급 단계이므로 취약성 및 보안 패치를 지속 모니터링하여 [[제로데이 공격]] 대비 필요 == 같이 보기 == * [[WPA]] * [[WEP]]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