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배포판: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br /> | |||
| == 레드햇 계열 == | |||
| === 특징 === | |||
| * 패키지 관리자로 yum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 | |||
| * 주로 서버용으로 사용 | |||
| === 종류 === | |||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
| * 센트OS | |||
| ** Amazon Linux | |||
| ** Scientific Linux | |||
| ** Rocky Linux | |||
| * 아시아눅스 | |||
| * Oracle Linux | |||
| 페도라 | |||
| * MeeGo | |||
| ** Sailfish OS | |||
| ** 타이젠 | |||
| * 붉은별 | |||
| == 데비안 계열 == | |||
| === 특징 === | |||
| * yum을 사용할 수 없으며 패키지 관리자로 apt 사용 | |||
| * 주로 데스크탑용으로 사용 | |||
| === 종류 === | |||
| [[데비안]] | |||
| [[구름 OS]] | |||
| ==== 우분투 계열 ==== | |||
| [[우분투]] | [[우분투]] | ||
| * 영국 회사인 캐노니컬에서 데비안 GNU/Linux를 기초로 하여 만든 리눅스 배포판 | * 영국 회사인 캐노니컬에서 데비안 GNU/Linux를 기초로 하여 만든 리눅스 배포판 | ||
| *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유니티(Unity) 사용 | *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유니티(Unity) 사용 | ||
| *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이지만, 우분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배포판이 많아 '우분투 계열'로 따로 분류하기도 함 | |||
| 리눅스 민트 | |||
| * 하모니카 | |||
| 쿠분투 | |||
| 주분투 - Xfce를 기본 DE로 사용하는 우분투. | |||
| * GalliumOS | |||
| 우분투 마테 | |||
| elementary OS | |||
| Zorin OS | |||
| JingOS | |||
| 루분투 | |||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 ||
| * [https://q.fran.kr/문제/2657 리눅스마스터 1급 2015년 1회 기출문제] | * [https://q.fran.kr/문제/2657 리눅스마스터 1급 2015년 1회 기출문제] | ||
2022년 2월 8일 (화) 10:18 기준 최신판
레드햇 계열[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패키지 관리자로 yum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
- 주로 서버용으로 사용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센트OS
- Amazon Linux
- Scientific Linux
- Rocky Linux
 
- 아시아눅스
- Oracle Linux
페도라
- MeeGo
- Sailfish OS
- 타이젠
 
- 붉은별
데비안 계열[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yum을 사용할 수 없으며 패키지 관리자로 apt 사용
- 주로 데스크탑용으로 사용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우분투 계열[편집 | 원본 편집]
- 영국 회사인 캐노니컬에서 데비안 GNU/Linux를 기초로 하여 만든 리눅스 배포판
-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유니티(Unity) 사용
-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이지만, 우분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배포판이 많아 '우분투 계열'로 따로 분류하기도 함
리눅스 민트
- 하모니카
쿠분투
주분투 - Xfce를 기본 DE로 사용하는 우분투.
- GalliumOS
우분투 마테
elementary OS
Zorin OS
JingOS
루분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