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이동통신: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1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Fir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 AMPS(미국) * TACS(영국) * NMT(스웨덴) * 1946년에 수동접속 교환방식인 MTS시스템으...) |
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NMT(스웨덴) | * NMT(스웨덴) | ||
== 발전 양상 == | |||
* 1946년에 수동접속 교환방식인 MTS시스템으로 미국에서 처음 시작 | * 1946년에 수동접속 교환방식인 MTS시스템으로 미국에서 처음 시작 | ||
* 다이얼 자동접속·쌍방향 통신(full-duplex) 및 다중채널 접속 등이 실현된 IMTS 시스템으로 발전 | * 다이얼 자동접속·쌍방향 통신(full-duplex) 및 다중채널 접속 등이 실현된 IMTS 시스템으로 발전 | ||
12번째 줄: | 13번째 줄: | ||
** 가입하지 않은 기지국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 | ** 가입하지 않은 기지국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 | ||
* 셀룰러 개념이 도입된 1983년 AT&T사에 의해 AMPS 방식이 미국에서 상용화된 후 다른 지역으로 전파 | * 셀룰러 개념이 도입된 1983년 AT&T사에 의해 AMPS 방식이 미국에서 상용화된 후 다른 지역으로 전파 | ||
== AMPS 방식 == | |||
* [[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 방식|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 방식(FDMA)]] 사용 | |||
** 주파수 분할 효율이 떨어짐 | |||
* FM변조 사용에 따른 보안성 문제 | |||
* 아날로그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 불가 |
2019년 8월 15일 (목) 15:10 판
- 1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Fir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 AMPS(미국)
- TACS(영국)
- NMT(스웨덴)
발전 양상
- 1946년에 수동접속 교환방식인 MTS시스템으로 미국에서 처음 시작
- 다이얼 자동접속·쌍방향 통신(full-duplex) 및 다중채널 접속 등이 실현된 IMTS 시스템으로 발전
- 송신기의 최대 출력에 의해 서비스 지역 결정
- 채널수 제한
- 산악지역,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구간에서는 통신이 두절
- 가입하지 않은 기지국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
- 셀룰러 개념이 도입된 1983년 AT&T사에 의해 AMPS 방식이 미국에서 상용화된 후 다른 지역으로 전파
AMPS 방식
- 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 방식(FDMA) 사용
- 주파수 분할 효율이 떨어짐
- FM변조 사용에 따른 보안성 문제
- 아날로그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