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토밍: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문제 해결이나 창의적인 발상을 촉진하는 집단 사고 기법이다. == 개요 == 브레인스토밍은 1940년대 미국 광고인 알렉스 F. 오스본(Alex F. Osborn)에 의해 체계화된 기법이다. 참여자들이 비판 없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하고, 양질보다 양(多量)을 우선시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
 
(차이 없음)

2025년 4월 28일 (월) 01:06 기준 최신판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문제 해결이나 창의적인 발상을 촉진하는 집단 사고 기법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브레인스토밍은 1940년대 미국 광고인 알렉스 F. 오스본(Alex F. Osborn)에 의해 체계화된 기법이다. 참여자들이 비판 없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하고, 양질보다 양(多量)을 우선시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이나 평가를 금지한다.
  •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끌어낸다.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확장하는 것을 장려한다.
  • 모든 아이디어는 기록하여 이후 평가 및 정리 단계에서 활용한다.

기본 원칙[편집 | 원본 편집]

  1. 비판 금지(No Criticism)
  2. 양적 추구(Quantity over Quality)
  3. 자유로운 발상(Wild Ideas Encouraged)
  4. 결합과 개선(Combine and Improve Ideas)

진행 방법[편집 | 원본 편집]

  1. 문제나 주제를 명확히 정의한다.
  2. 참여 인원을 선정하고,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3. 한 사람씩 돌아가며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한다.
  4. 모든 아이디어를 빠짐없이 기록한다.
  5. 세션이 끝난 후, 수집된 아이디어를 분석, 분류, 평가하여 실행 가능한 방안을 도출한다.

변형 기법[편집 | 원본 편집]

  •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 아이디어를 말로 표현하지 않고 종이에 적는 방법.
  • 전자 브레인스토밍(Electronic Brainstorming)
    • 컴퓨터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방법.
  • 스캠퍼(SCAMPER) 기법
    • 기존 아이디어를 변형하거나 확장하는 데 초점을 둔 기법.

활용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신제품 아이디어 발굴
  • 문제 해결 방안 탐색
  • 조직 혁신 전략 수립
  • 마케팅 캠페인 기획
  • 프로젝트 위험 요소 도출

브레인스토밍과 다른 기법의 차이[편집 | 원본 편집]

  •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 생성에 중점
  • 마인드 맵: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연결
  • 디베이트(토론): 아이디어를 비판하고 평가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cribner.
  • Michalko, M. (2006). Thinkertoys: A Handbook of Creative-Thinking Techniques. Ten Spee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