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감사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링크추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정보 시스템 감사 과정 (Information Systems Auditing Process) === | === 정보 시스템 감사 과정 (Information Systems Auditing Process) === | ||
감사 계획 수립, 감사 과정 수행, 감사 보고서 작성 등을 포함한 감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 감사 계획 수립, 감사 과정 수행, 감사 보고서 작성 등을 포함한 감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 ||
1.1 [[감사 프로세스]] 개요 | |||
1.2 감사 계획 수립 | |||
1.3 감사 수행 및 보고서 작성 | |||
1.4 감사 프로세스 관리 및 감사 역할 | |||
1.5 감사 품질 보증 및 지속적 개선 | |||
=== IT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Governance and Risk Management)=== | === IT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Governance and Risk Management)=== | ||
IT 거버넌스 체계 설계 및 운영,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개발 및 구현. | IT 거버넌스 체계 설계 및 운영,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개발 및 구현. | ||
2.1 [[IT 거버넌스]] 개념 | |||
2.2 [[리스크 관리]] 및 [[리스크|리스크 평가]] | |||
2.3 규제 준수 및 IT 정책 | |||
2.4 조직 내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
2.5 IT 관리 및 평가 | |||
=== 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 | === 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 | ||
시스템 설계, 개발, 테스트 및 배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와 통제 방법. | 시스템 설계, 개발, 테스트 및 배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와 통제 방법. | ||
3.1 [[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SDLC)]] 개요 | |||
3.2 SDLC 모델 및 방법론 | |||
3.3 [[프로젝트 관리]] 및 [[프로젝트 변경 관리|변경 관리]] | |||
3.4 [[시스템 설계]] 및 [[시스템 개발|개발]] | |||
3.5 [[시스템 테스트]] 및 [[시스템 배포|배포]] | |||
=== 운영 및 유지 관리 통제 (Information Systems Operations and Business Resilience) === | === 운영 및 유지 관리 통제 (Information Systems Operations and Business Resilience) === | ||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 보장 및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과 관련된 사항. |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 보장 및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과 관련된 사항. | ||
4.1 운영 및 유지 관리의 중요성 | |||
4.2 [[IT 서비스 관리]] | |||
4.3 [[시스템 운영]] 및 [[시스템 모니터링|모니터링]] | |||
4.4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 |||
4.5 [[재해 복구]] 계획 및 통제 | |||
4.6 [[시스템 보안]] 관리 | |||
=== 정보 자산 보호 (Protection of Information Assets) === | === 정보 자산 보호 (Protection of Information Assets) === | ||
데이터 보호 및 보안 통제,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관련 절차 및 정책. | 데이터 보호 및 보안 통제,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관련 절차 및 정책. | ||
5.1 [[정보 보안 관리]] | |||
5.2 [[네트워크 보안]] | |||
5.3 [[물리적 보안]] | |||
5.4 [[접근 통제]] 및 [[인증]] | |||
5.5 [[암호화]] 및 [[데이터 보호]] | |||
5.6 [[보안 감사]] 및 [[보안 감시|감시]] | |||
== CISA 시험 준비 방법 == | == CISA 시험 준비 방법 == | ||
# CISA Review Manual: ISACA에서 제공하는 공식 교재인 CISA Review Manual을 통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교재는 각 도메인의 핵심 개념을 다루며, 실제 시험과 유사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 CISA Review Manual: ISACA에서 제공하는 공식 교재인 CISA Review Manual을 통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교재는 각 도메인의 핵심 개념을 다루며, 실제 시험과 유사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25년 5월 6일 (화) 14:09 기준 최신판
CISA는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의 약자로, 정보 시스템 감사에 관한 국제 인증 프로그램입니다. 이 인증은 정보 시스템 감사, 관리, 보안 및 통제 분야에서 전문성을 입증하고, 기업 및 조직의 정보 기술(IT) 시스템과 관련된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CISA 인증의 중요성[편집 | 원본 편집]
- 정보 시스템 감사: CISA는 정보 시스템 및 IT 관련 감사 업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보안, 효율성, 그리고 규정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 리스크 관리: 기업들이 기술적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리스크 식별, 평가 및 통제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 IT 거버넌스: CISA는 IT 자원과 관련된 정책, 절차, 규칙 등을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배양합니다.
CISA 시험 개요[편집 | 원본 편집]
CISA 시험은 5개의 주요 도메인(영역)으로 구성됩니다:
정보 시스템 감사 과정 (Information Systems Auditing Process)[편집 | 원본 편집]
감사 계획 수립, 감사 과정 수행, 감사 보고서 작성 등을 포함한 감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1.1 감사 프로세스 개요
1.2 감사 계획 수립
1.3 감사 수행 및 보고서 작성
1.4 감사 프로세스 관리 및 감사 역할
1.5 감사 품질 보증 및 지속적 개선
IT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Governance and Risk Management)[편집 | 원본 편집]
IT 거버넌스 체계 설계 및 운영,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개발 및 구현.
2.1 IT 거버넌스 개념
2.3 규제 준수 및 IT 정책
2.4 조직 내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2.5 IT 관리 및 평가
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편집 | 원본 편집]
시스템 설계, 개발, 테스트 및 배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와 통제 방법.
3.1 시스템 개발 생애 주기(SDLC) 개요
3.2 SDLC 모델 및 방법론
운영 및 유지 관리 통제 (Information Systems Operations and Business Resilience)[편집 | 원본 편집]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 보장 및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과 관련된 사항.
4.1 운영 및 유지 관리의 중요성
4.2 IT 서비스 관리
4.4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4.5 재해 복구 계획 및 통제
4.6 시스템 보안 관리
정보 자산 보호 (Protection of Information Assets)[편집 | 원본 편집]
데이터 보호 및 보안 통제,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관련 절차 및 정책.
5.1 정보 보안 관리
5.2 네트워크 보안
5.3 물리적 보안
CISA 시험 준비 방법[편집 | 원본 편집]
- CISA Review Manual: ISACA에서 제공하는 공식 교재인 CISA Review Manual을 통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교재는 각 도메인의 핵심 개념을 다루며, 실제 시험과 유사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CISA 문제집: 문제 풀이를 통해 시험 형식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CISA Questions, Answers, and Explanations (QAE) 문제집은 유용한 연습 자료입니다.
- 온라인 자료와 포럼: CISA 인증을 목표로 하는 많은 사람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포럼이나 학습 그룹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실무 경험: IT 시스템 감사 및 보안 분야에서의 실무 경험이 CISA 시험 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
CISA 인증 취득의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전문성 입증: 정보 시스템 감사 및 보안 분야에서의 전문 지식과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경력 발전: CISA 인증을 보유한 전문가는 경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승진 기회나 연봉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킹: ISACA와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다양한 업계 전문가들과의 교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