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한포진(汗疱疹, Dyshidrotic eczema)은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이나 발가락 측면에 소양감이 동반된 수포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습진성 피부질환이다. ==개요== 한포진은 주로 젊은 성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정 계절(특히 봄과 여름)이나 스트레스, 금속 알러지, 땀 분비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포는 대개 투명하고 쌀알 크기의 물집 형태로 나타...)
 
(차이 없음)

2025년 7월 13일 (일) 10:21 기준 최신판

한포진(汗疱疹, Dyshidrotic eczema)은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이나 발가락 측면에 소양감이 동반된 수포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습진성 피부질환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한포진은 주로 젊은 성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정 계절(특히 봄과 여름)이나 스트레스, 금속 알러지, 땀 분비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포는 대개 투명하고 쌀알 크기의 물집 형태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터지거나 각질로 진행된다. 증상은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만성적으로 진행되기 쉽다.

증상[편집 | 원본 편집]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손가락, 손바닥, 발바닥에 생기는 소양성 수포
  • 수포가 터진 후 나타나는 피부 갈라짐 및 건조
  • 반복적인 재발과 각질화
  • 심한 경우 진물, 통증 동반
  • 스트레스나 땀에 의해 악화됨

원인[편집 | 원본 편집]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발병과 연관되어 있다.

  • 금속 알러지(특히 니켈, 크롬)
  • 스트레스 및 정신적 긴장
  • 과도한 땀 분비(다한증)
  • 계절 변화 및 고온다습한 환경
  • 피부 장벽 기능 저하

진단[편집 | 원본 편집]

임상 증상을 기반으로 진단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병력 청취 및 육안 검사
  • 첩포시험(Patch test)을 통한 금속 알러지 여부 확인
  • 곰팡이나 세균 감염과의 감별을 위한 검사

치료[편집 | 원본 편집]

한포진은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적용된다.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 국소 스테로이드제: 염증 및 수포 완화
  • 항히스타민제: 가려움증 조절
  • 금속 알러지 시 식이 조절 및 회피
  • 자외선 광선치료(광선요법)
  • 피부 보습제 사용 및 자극 물질 회피

예방[편집 | 원본 편집]

  • 손발의 과도한 습기 방지
  • 금속 알러지가 있는 경우 니켈이나 크롬 함유 제품 피하기
  • 스트레스 관리
  • 보습제 사용으로 피부 장벽 보호
  • 자극성 세제나 비누 사용 자제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 접촉 피부염
  • 니켈 알러지
  • 크롬 알러지
  • 습진
  • 다한증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Löffler, H., & Effendy, I. (2001). Dyshidrotic eczema—clinical picture, pathogenesis,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2(3), 123–135.
  • Wollina, U. (2010). Pompholyx–a review. *Clinics in Dermatology*, 28(1), 13-18.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