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롭아웃: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  (새 문서: 분류:인공지능 ;Drop-out; Dropout ;딥러닝 시 오버피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 중 일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최적 학습기법)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분류:인공지능]] | [[분류:인공지능]] | ||
| ;Drop-out; Dropout | |||
| ;동작 Drop-out; Dropout | |||
| ;딥러닝 시 오버피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 중 일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최적 학습기법 | ;딥러닝 시 오버피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 중 일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최적 학습기법 | ||
| == 드롭아웃의 목적 == | |||
| {| class="wikitable" | |||
| !목적 구분 | |||
| !설명 | |||
| |- | |||
| |과적합 문제 해결 | |||
| | | |||
| * 신경망 비대 시 high variance 문제 해결 | |||
| * Voting 효과로 정규화 유사 효과 가능 | |||
| |- | |||
| |Co-adaptation 회피 | |||
| | | |||
| * 특정 뉴런의 가중치나 영향 감소 | |||
| * 강건한 신경망 구성 가능 | |||
| |} | |||
| == 동작 과정 == | |||
| {| class="wikitable" | |||
| |개념도 | |||
| |[[파일:드롭아웃 전후 예시.png]] | |||
| |- | |||
| |동작 | |||
| | | |||
| # 입력층과 은닉층의 임의 노드 선택 및 제거 | |||
| #* 확률 p를 기준으로 제거 | |||
| # 임의 노드 제거 상태에서 학습 수행 | |||
| # 실제 테스트 시 제거 노드 복원 및 가중치 연산 | |||
| #* 가중치에 확률 p를 곱하여 결과 보상 | |||
| |} | |||
| == 문제점 및 해결방안 == | |||
| * (문제점) : 신경망 학습속도 저하 | |||
| * (해결방안) : 배치 정규화와 함께 수행하여 속도 향상 | |||
| == 참고 문헌 == | |||
| * [http://blog.skby.net/드롭아웃-dropout/ 도리의 디지털라이프] | |||
2020년 3월 12일 (목) 00:40 판
- 동작 Drop-out; Dropout
- 딥러닝 시 오버피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 중 일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최적 학습기법
드롭아웃의 목적
| 목적 구분 | 설명 | 
|---|---|
| 과적합 문제 해결 | 
 
 | 
| Co-adaptation 회피 | 
 
 | 
동작 과정
| 개념도 |   | 
| 동작 | 
 | 
문제점 및 해결방안
- (문제점) : 신경망 학습속도 저하
- (해결방안) : 배치 정규화와 함께 수행하여 속도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