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용성: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High Availability; 高可用性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복구하는 성질 * 시스템을 장애 없이(중단 시간 없...)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 ||
;High Availability; 高可用性  | ;High Availability; 高可用性  | ||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복구하는 성질  |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복구하는 성질  | ||
== [[장애 허용|장애 허용(Fault Tolerant)]]와의 차이 ==  | *시스템을 장애 없이(중단 시간 없이) 오랫동안 가용한 상태로 운영할 수 있는 성질로 표현하기도 한다.  | ||
* 장애 허용은 장애가 생기더라도 시스템이 이상 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특성인데 반해, 고가용성은 빠르게 복구하는 특성  | *99%의 고가용성 시스템이란, 100시간 동안 운영 시 장애 시간이 1시간 이하임을 의미한다.  | ||
* 둘을 동일한 개념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하기도 하므로 굳이 따지지 않은다면 차이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 |||
==[[장애 허용|장애 허용(Fault Tolerant)]]와의 차이==  | |||
*장애 허용은 장애가 생기더라도 시스템이 이상 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특성인데 반해, 고가용성은 빠르게 복구하는 특성  | |||
*둘을 동일한 개념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하기도 하므로 굳이 따지지 않은다면 차이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 |||
== 고가용성 구성 방식 ==  | |||
{| class="wikitable"  | |||
!구 분  | |||
!설 명  | |||
|-  | |||
|Hot Standby  | |||
|  | |||
* 가장 단순하면서 많이 사용되는 유형  | |||
* 가동 시스템과 평상시 대기 상태 또는 개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백업 시스템으로 구성  | |||
* 외장 디스크는 가동 시스템에서만 접근 가능하고, 장애 시에만 백업 시스템에서 접근 가능함  | |||
[[파일:고가용성 Hot Standby.png|600x600픽셀]]  | |||
|-  | |||
|Mutual Takeover  | |||
|  | |||
* 2개 시스템이 각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다가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시스템이 그 시스템의 업무까지 수행하는 방식  | |||
* 장애 발생 시 Fail-over 에 대비해 각 시스템 2개의 업무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갖추도록 고려해야 함  | |||
* 외장 디스크는 해당 시스템에서만 접근 가능함  | |||
[[파일:고가용성 Mutual take-over.png|600x600픽셀]]  | |||
|-  | |||
|Concurrent Access  | |||
|  | |||
* 여러 개의 시스템이 동시에 업무를 나누어 병렬 처리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전체가 Active 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함  | |||
* 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다른 시스템으로 Fail-over 하지 않고 가용성을 보장함  | |||
[[파일:고가용성 Concurrent Access.png|600x600픽셀]]  | |||
|}  | |||
==주요 기술==  | |||
*[[이중화]](주로 Active-Standby)  | |||
* [[이중화]](주로 Active-Standby)  | *[[셰도우 페이징]]  | ||
* [[셰도우 페이징]]  | *[[HACMP]]  | ||
* [[HACMP]]  | |||
2020년 4월 13일 (월) 22:20 판
- High Availability; 高可用性
 -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복구하는 성질
 
- 시스템을 장애 없이(중단 시간 없이) 오랫동안 가용한 상태로 운영할 수 있는 성질로 표현하기도 한다.
 - 99%의 고가용성 시스템이란, 100시간 동안 운영 시 장애 시간이 1시간 이하임을 의미한다.
 
장애 허용(Fault Tolerant)와의 차이
- 장애 허용은 장애가 생기더라도 시스템이 이상 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특성인데 반해, 고가용성은 빠르게 복구하는 특성
 - 둘을 동일한 개념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하기도 하므로 굳이 따지지 않은다면 차이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고가용성 구성 방식
| 구 분 | 설 명 | 
|---|---|
| Hot Standby | 
  | 
| Mutual Takeover | 
  | 
| Concurrent Access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