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스와프: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통화 스와프(英: currency swap)는 두 국가 혹은 두 기관이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로 미리 약정된 조건하에 교환하는 금융·외환거래 제도이다. 주로 외환 유동성 확보나 외환위기 시 안정장치로 사용된다. ==정의 및 개념== 통화 스와프는 다음 특징을 가진다: *양측이 일정 금액의 각국 통화를 교환(swap)하고, 일정 기간 후에 원래의 통화와 금액으로 회복(re‐exchange)한...)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통화 스와프(英: currency swap)는 두 국가 혹은 두 기관이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로 미리 약정된 조건하에 교환하는 금융·외환거래 제도이다. 주로 외환 유동성 확보나 외환위기 시 안정장치로 사용된다.
통화 스와프(英: currency swap)는 두 국가 혹은 두 기관이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로 미리 약정된 조건하에 교환하는 금융·외환거래 제도이다. 주로 외환 유동성 확보나 외환위기 시 안정장치로 사용된다.
==정의 및 개념==
==정의 및 개념 ==
통화 스와프는 다음 특징을 가진다:
통화 스와프는 다음 특징을 가진다:
*양측이 일정 금액의 각국 통화를 교환(swap)하고, 일정 기간 후에 원래의 통화와 금액으로 회복(re‐exchange)한다.<ref>한국경제 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apps/economy.view?seq=2419</ref>
*양측이 일정 금액의 각국 통화를 교환(swap)하고, 일정 기간 후에 원래의 통화와 금액으로 회복(re‐exchange)한다.<ref name="hkdic">한국경제 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apps/economy.view?seq=2419</ref>
*교환 시점의 환율(또는 스와프계약 시 정해진 환율)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 교환 시점의 환율(또는 스와프계약 시 정해진 환율)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ref name="hkdic" />
*계약기간 동안 양측은 상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권리/의무를 가진다.<ref>The Scoop, "통화스와프의 모든 것",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275</ref>
*계약기간 동안 양측은 상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권리/의무를 가진다.<ref name="scoop">The Scoop, "통화스와프의 모든 것",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275</ref>
==용도 및 목적==
==용도 및 목적==
통화 스와프 체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통화 스와프 체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외환 유동성 확보'''
 
**위기 시 자국 통화만으로는 외화가 부족해질 수 있는데, 통화 스와프가 있으면 미리 약정한 통화(예: 달러)를 긴급히 확보할 수 있다.
* '''외환 유동성 확보'''
** 위기 시 자국 통화만으로는 외화가 부족해질 수 있는데, 통화 스와프가 있으면 미리 약정한 통화(예: 달러)를 긴급히 확보할 수 있다.<ref name="scoop" />


*'''외환시장 및 환율 변동성 완화'''
*'''외환시장 및 환율 변동성 완화'''
**시장 불안시 환율이 급격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 역할을 한다.<ref>뉴스토마토, "정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추진",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74940</ref>
**시장 불안시 환율이 급격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 역할을 한다.<ref name="newstomato">뉴스토마토, "정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추진",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74940</ref>


*'''조달 비용 절감'''
*'''조달 비용 절감'''
**상업은행이나 정부가 외화를 직접 조달할 때보다 유리한 조건(금리 또는 수수료)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ref>한국경제 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apps/economy.view?seq=2419</ref>
**상업은행이나 정부가 외화를 직접 조달할 때보다 유리한 조건(금리 또는 수수료)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ref name="hkdic" />
==구조 및 형태==
==구조 및 형태 ==
통화 스와프는 형태나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통화 스와프는 형태나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2번째 줄: 23번째 줄:
|'''교환 통화 종류'''||달러, 유로, 엔화, 기타 통화 등
|'''교환 통화 종류'''||달러, 유로, 엔화, 기타 통화 등
|-
|-
|'''교환 금액(한도)'''||약정된 최대 금액 또는 상한을 설정함 (“한도 스와프”)<ref>뉴스토마토,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74940</ref>
|'''교환 금액(한도)'''||약정된 최대 금액 또는 상한을 설정함 (“한도 스와프”)<ref name="newstomato" />
|-
|-
|'''기간'''||단기 ~ 중기. 긴급 유동성 확보를 위한 단기 계약이 많음<ref>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view.do?num=154366</ref>
|'''기간'''||단기 ~ 중기. 긴급 유동성 확보를 위한 단기 계약이 많음<ref name="kdi">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view.do?num=154366</ref>
|-
|-
|'''금리/이자 지급 조건'''||교환 통화에 대한 이자(상대 통화 금리)를 약정할 수 있음<ref>EBC, https://www.ebc.com/kr/forex/3094.html</ref>
|'''금리/이자 지급 조건'''||교환 통화에 대한 이자(상대 통화 금리)를 약정할 수 있음<ref name="ebc">EBC, https://www.ebc.com/kr/forex/3094.html</ref>
|-
|-
|'''무제한 스와프'''||상한액 없이 자금 조달 가능하도록 한 형태. 위기의 심각성에 따라 제안되는 경우가 많음
|'''무제한 스와프'''||상한액 없이 자금 조달 가능하도록 한 형태. 위기의 심각성에 따라 제안되는 경우가 많음<ref name="newstomato" />
|}
|}
==예시==
==예시==
*한미 통화스와프 제안 및 협의: 한국 정부가 위급 상황이나 외환시장 충격에 대비해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논의하는 경우가 있음.<ref>다음뉴스, https://v.daum.net/v/20250914184504323</ref>
*한미 통화스와프 제안 및 협의: 한국 정부가 위급 상황이나 외환시장 충격에 대비해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논의하는 경우가 있음.<ref>다음뉴스, https://v.daum.net/v/20250914184504323</ref>
*과거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타 주요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및 시행 사례들이 존재함.<ref>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view.do?num=154366</ref>
* 과거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타 주요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및 시행 사례들이 존재함.<ref name="kdi" />
==한계 및 위험==
==한계 및 위험==
통화 스와프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통화 스와프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상호 신뢰 문제: 당사국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않거나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
*상호 신뢰 문제: 당사국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않거나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
*비용 부담: 교환한 통화에 대한 이자나 수수료, 환율 변동으로 인한 잠재 손해 등이 있을 수 있음.
*비용 부담: 교환한 통화에 대한 이자나 수수료, 환율 변동으로 인한 잠재 손해 등이 있을 수 있음.
*제도적 제약: 무제한 스와프는 상대적으로 드물며, 일반적으로 특정 한도 및 조건이 포함됨.<ref>뉴스토마토,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74940</ref>
*제도적 제약: 무제한 스와프는 상대적으로 드물며, 일반적으로 특정 한도 및 조건이 포함됨.<ref name="newstomato" />
==한국과 통화 스와프==
==한국과 통화 스와프==
한국의 경우: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은 여러 국가 및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어 놓고 있으며, 필요 시 외화 유동성 확보 수단으로 활용됨.<ref>한국은행, https://www.bok.or.kr/portal/singl/contents/ready.do?menuNo=201135</ref>
*한국은행은 여러 국가 및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어 놓고 있으며, 필요 시 외화 유동성 확보 수단으로 활용됨.<ref name="bok">한국은행, https://www.bok.or.kr/portal/singl/contents/ready.do?menuNo=201135</ref>
*최근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가 외환시장 안정과 펀드 조성 등의 맥락에서 정부 논의 주제로 등장함.<ref>뉴스토마토,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74940</ref>
*최근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가 외환시장 안정과 펀드 조성 등의 맥락에서 정부 논의 주제로 등장함.<ref name="newstomato"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

2025년 9월 16일 (화) 04:16 기준 최신판

통화 스와프(英: currency swap)는 두 국가 혹은 두 기관이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로 미리 약정된 조건하에 교환하는 금융·외환거래 제도이다. 주로 외환 유동성 확보나 외환위기 시 안정장치로 사용된다.

정의 및 개념[편집 | 원본 편집]

통화 스와프는 다음 특징을 가진다:

  • 양측이 일정 금액의 각국 통화를 교환(swap)하고, 일정 기간 후에 원래의 통화와 금액으로 회복(re‐exchange)한다.[1]
  • 교환 시점의 환율(또는 스와프계약 시 정해진 환율)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1]
  • 계약기간 동안 양측은 상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권리/의무를 가진다.[2]

용도 및 목적[편집 | 원본 편집]

통화 스와프 체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외환 유동성 확보
    • 위기 시 자국 통화만으로는 외화가 부족해질 수 있는데, 통화 스와프가 있으면 미리 약정한 통화(예: 달러)를 긴급히 확보할 수 있다.[2]
  • 외환시장 및 환율 변동성 완화
    • 시장 불안시 환율이 급격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 역할을 한다.[3]
  • 조달 비용 절감
    • 상업은행이나 정부가 외화를 직접 조달할 때보다 유리한 조건(금리 또는 수수료)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1]

구조 및 형태[편집 | 원본 편집]

통화 스와프는 형태나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요소 설명
교환 통화 종류 달러, 유로, 엔화, 기타 통화 등
교환 금액(한도) 약정된 최대 금액 또는 상한을 설정함 (“한도 스와프”)[3]
기간 단기 ~ 중기. 긴급 유동성 확보를 위한 단기 계약이 많음[4]
금리/이자 지급 조건 교환 통화에 대한 이자(상대 통화 금리)를 약정할 수 있음[5]
무제한 스와프 상한액 없이 자금 조달 가능하도록 한 형태. 위기의 심각성에 따라 제안되는 경우가 많음[3]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한미 통화스와프 제안 및 협의: 한국 정부가 위급 상황이나 외환시장 충격에 대비해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논의하는 경우가 있음.[6]
  • 과거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타 주요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및 시행 사례들이 존재함.[4]

한계 및 위험[편집 | 원본 편집]

통화 스와프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상호 신뢰 문제: 당사국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않거나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

  • 비용 부담: 교환한 통화에 대한 이자나 수수료, 환율 변동으로 인한 잠재 손해 등이 있을 수 있음.
  • 제도적 제약: 무제한 스와프는 상대적으로 드물며, 일반적으로 특정 한도 및 조건이 포함됨.[3]

한국과 통화 스와프[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경우:

  • 한국은행은 여러 국가 및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어 놓고 있으며, 필요 시 외화 유동성 확보 수단으로 활용됨.[7]
  • 최근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가 외환시장 안정과 펀드 조성 등의 맥락에서 정부 논의 주제로 등장함.[3]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The Scoop, “통화스와프의 모든 것”
  • 한국경제, 용어사전
  • KDI 경제정보센터
  • EBC, “통화 스왑은 무슨 뜻입니까?”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