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위기 경보: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  (→단계) |  (관심이 경보 쪽으로 가야함)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분류:보안]][[분류:정보보안기사]] | [[분류:보안]] | ||
| [[분류:정보보안기사]] | |||
| == 개요 == | ==개요== | ||
| * [[KISA]]에서 발표한다. | |||
| * 유사한 지표로 금융위의 [[금융전산위기 경보단계]]가 있다. 단계는 동일하다. | *[[KISA]]에서 발표한다. | ||
| *유사한 지표로 금융위의 [[금융전산위기 경보단계]]가 있다. 단계는 동일하다. | |||
| ==단계== | |||
| ;2분류 5단계 | ;2분류 5단계 | ||
| 정상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정상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분류 | !분류 | ||
| ! 정상 단계 | !정상 단계 | ||
| ! colspan=" | ! colspan="4" |경보 단계 | ||
| |- | |- | ||
| | 단계 | |단계 | ||
| | 정상 | |정상 | ||
| | 주의 | |관심 | ||
| | 경계 | |주의 | ||
| | 심각 | |경계 | ||
| |심각 | |||
| |} | |} | ||
| === 정상 단계 === | ===정상 단계=== | ||
| ==== 정상 ==== | ====정상==== | ||
| * 국내 민간 분야 인터넷 정상 소통 | |||
| * 인터넷 소통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 *국내 민간 분야 인터넷 정상 소통 | ||
| ** 웜/바이러스 등 악성코드 출현 탐지 | *인터넷 소통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 ||
| ** 신규 보안 취약점 또는 해킹 기법 등 발표 | **웜/바이러스 등 악성코드 출현 탐지 | ||
| * 위험도가 낮은 국지성 이상 트래픽 발생 가능성 존재 | **신규 보안 취약점 또는 해킹 기법 등 발표 | ||
| === 경보 단계 === | *위험도가 낮은 국지성 이상 트래픽 발생 가능성 존재 | ||
| ==== 관심 ==== | |||
| * 위험도가 높은 웜ㆍ바이러스, 취약점 및 해킹 기법 출현으로 인해 피해 발생 가능성 증가 | ===경보 단계=== | ||
| * 해외 사이버공격 피해가 확산되어 국내 유입 우려 | ====관심==== | ||
| * 침해사고가 일부기관에서 발생 | |||
|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상황 조성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증가 | *위험도가 높은 웜ㆍ바이러스, 취약점 및 해킹 기법 출현으로 인해 피해 발생 가능성 증가 | ||
| ==== 주의 ==== | *해외 사이버공격 피해가 확산되어 국내 유입 우려 | ||
| * 일부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 *침해사고가 일부기관에서 발생 | ||
|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으로 확산될 가능성 증가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상황 조성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증가 | ||
|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발생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고조 | |||
| ==== 경계 ==== | ====주의==== | ||
| * 복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ISP)망·기간통신망에 장애 또는 마비 | |||
|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에서 발생했거나 대규모 피해로 확대될 가능성 증가 | *일부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 ||
| ==== 심각 ====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으로 확산될 가능성 증가 | ||
| * 국가 차원의 주요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또는 마비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발생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고조 | ||
| * 침해사고가 전국적으로 발생했거나 피해범위가 대규모인 사고 발생 | |||
| ====경계==== | |||
| *복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ISP)망·기간통신망에 장애 또는 마비 | |||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에서 발생했거나 대규모 피해로 확대될 가능성 증가 | |||
| ====심각==== | |||
| *국가 차원의 주요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또는 마비 | |||
| *침해사고가 전국적으로 발생했거나 피해범위가 대규모인 사고 발생 | |||
2020년 11월 12일 (목) 14:02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 KISA에서 발표한다.
- 유사한 지표로 금융위의 금융전산위기 경보단계가 있다. 단계는 동일하다.
단계[편집 | 원본 편집]
- 2분류 5단계
정상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분류 | 정상 단계 | 경보 단계 | |||
|---|---|---|---|---|---|
| 단계 | 정상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정상 단계[편집 | 원본 편집]
정상[편집 | 원본 편집]
- 국내 민간 분야 인터넷 정상 소통
- 인터넷 소통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 웜/바이러스 등 악성코드 출현 탐지
- 신규 보안 취약점 또는 해킹 기법 등 발표
 
- 위험도가 낮은 국지성 이상 트래픽 발생 가능성 존재
경보 단계[편집 | 원본 편집]
관심[편집 | 원본 편집]
- 위험도가 높은 웜ㆍ바이러스, 취약점 및 해킹 기법 출현으로 인해 피해 발생 가능성 증가
- 해외 사이버공격 피해가 확산되어 국내 유입 우려
- 침해사고가 일부기관에서 발생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상황 조성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증가
주의[편집 | 원본 편집]
- 일부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으로 확산될 가능성 증가
- 국내·외 정치·군사적 위기발생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고조
경계[편집 | 원본 편집]
- 복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ISP)망·기간통신망에 장애 또는 마비
- 침해사고가 다수기관에서 발생했거나 대규모 피해로 확대될 가능성 증가
심각[편집 | 원본 편집]
- 국가 차원의 주요 정보통신망 및 정보시스템 장애 또는 마비
- 침해사고가 전국적으로 발생했거나 피해범위가 대규모인 사고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