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  (→RAID-5)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분류:데이터베이스]][[분류:컴퓨터 구조]] | [[분류:데이터베이스]] | ||
| [[분류:컴퓨터 구조]] | |||
| ;하드디스크 여러 개를 활용하여 속도 향상이나 안전성 향상을 높이는 기술 | ;하드디스크 여러 개를 활용하여 속도 향상이나 안전성 향상을 높이는 기술 | ||
| == 기본 모델 == | ==기본 모델== | ||
| === RAID-0 === | ===RAID-0=== | ||
| ;Striped disk array without fault tolerance | ;Striped disk array without fault tolerance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0.png|150px]]   | | rowspan="2' " |[[파일:RAID 0.png|150px]] | ||
| || | || | ||
| * 속도 향상만을 추구하는 스트라이핑 모델 | *속도 향상만을 추구하는 스트라이핑 모델 | ||
| * 디스크 n개에서 n배의 속도를 가진다. | *디스크 n개에서 n배의 속도를 가진다.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2개 | *최소 수량: 2개 | ||
| * 공간 효율: 1배 | *공간 효율: 1배 | ||
| * 읽기 효율: n배 | *읽기 효율: n배 | ||
| * 쓰기 효율: n배 | *쓰기 효율: n배 | ||
| * 고장 허용: 해당 없음 | *고장 허용: 해당 없음 | ||
| |} | |} | ||
| === RAID-1 === | ===RAID-1=== | ||
| ;Mirroring and duplexing | ;Mirroring and duplexing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1.png|150px]]   | | rowspan="2' " |[[파일:RAID 1.png|150px]] | ||
| || | || | ||
| * 안정성만을 추구하는 미러링 모델 | *안정성만을 추구하는 미러링 모델 | ||
| * 읽기 속도는 n배 향상되지만, 쓰기 부하는 n배로 늘어난다. | *읽기 속도는 n배 향상되지만, 쓰기 부하는 n배로 늘어난다.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2개 | *최소 수량: 2개 | ||
| * 공간 효율: 1/n배 | *공간 효율: 1/n배 | ||
| * 읽기 효율: n배 | *읽기 효율: n배 | ||
| * 쓰기 효율: 1배 | *쓰기 효율: 1배 | ||
| * 고장 허용: n-1개 허용 | *고장 허용: n-1개 허용 | ||
| |} | |} | ||
| === RAID-2 === | ===RAID-2=== | ||
| ;Hamming code ECC | ;Hamming code ECC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2.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2.png|250px]] | ||
| || | || | ||
| * RAID 0과 같이 스트라이핑으로 구현하고, 오류 정정을 위한 Hamming code를 사용 | *RAID 0과 같이 스트라이핑으로 구현하고, 오류 정정을 위한 Hamming code를 사용 | ||
| * 최근 디스크드라이브는 자체적으로 오류정정 기능이 있으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음 | *최근 디스크드라이브는 자체적으로 오류정정 기능이 있으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음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3개 | *최소 수량: 3개 | ||
| * 공간 효율: 1 - 1/n ⋅ log<sub>2</sub>(n-1)배 | *공간 효율: 1 - 1/n ⋅ log<sub>2</sub>(n-1)배 | ||
|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
|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RAID-3 === | ===RAID-3=== | ||
| ;Parallel transfer with parity | ;Parallel transfer with parity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3.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3.png|250px]] | ||
| || | || | ||
| *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크들을 구성하고, 별도의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저장 |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크들을 구성하고, 별도의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저장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3개 | *최소 수량: 3개 | ||
| * 공간 효율: 1 - 1/n배 | *공간 효율: 1 - 1/n배 | ||
|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
|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RAID-4 === | ===RAID-4=== | ||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shared parity disk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shared parity disk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4.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4.png|250px]] | ||
| || | || | ||
| * 블록 형태의 스트라이핑 기술과 패티리 사용 | *블록 형태의 스트라이핑 기술과 패티리 사용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3개 | *최소 수량: 3개 | ||
| * 공간 효율: 1 - 1/n배 | *공간 효율: 1 - 1/n배 | ||
| * 읽기 효율: n배 | *읽기 효율: n배 | ||
| * 쓰기 효율: 1배 | *쓰기 효율: 1배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RAID-5 === | ===RAID-5=== | ||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distributed parity blocks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distributed parity blocks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5.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5.png|250px]] | ||
| || | || | ||
| * 안전성과 속도 모두를 추구하는 방식 | *안전성과 속도 모두를 추구하는 방식 | ||
| * 가장 많이 쓰인다. | *가장 많이 쓰인다. | ||
| * 블록 스트라이핑과 분산된 패리티를 사용한다. | *블록 스트라이핑과 분산된 패리티를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3개 | *최소 수량: 3개 | ||
| * 공간 효율: 1 - (1/n)배 | *공간 효율: 1 - (1/n)배 | ||
| * 읽기 효율: 1-n배 | *읽기 효율: 1-n배 | ||
| * 쓰기 효율: 상황에 따라 다름 | *쓰기 효율: 상황에 따라 다름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RAID-6 === | ===RAID-6=== | ||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two independent distributed parity schemas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two independent distributed parity schemas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6.png|350px]]   | | rowspan="2' " |[[파일:RAID 6.png|350px]] | ||
| || | || | ||
| * RAID 5와 비슷하지만 2차 패리티까지 포함하여 안정성을 더 높였다. | *RAID 5와 비슷하지만 2차 패리티까지 포함하여 안정성을 더 높였다. | ||
| * 금융업이나 중요 데이터 스토리지 등에 사용된다. | *금융업이나 중요 데이터 스토리지 등에 사용된다.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4개 | *최소 수량: 4개 | ||
| * 공간 효율: 1 - (2/n)배 | *공간 효율: 1 - (2/n)배 | ||
|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읽기 효율: 해당 없음 | ||
|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
| * 고장 허용: 2개 허용 | *고장 허용: 2개 허용 | ||
| |} | |} | ||
| === RAID-7 === | ===RAID-7=== | ||
| ;비공식 | ;비공식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사진 없음 | | rowspan="2' " |사진 없음 | ||
| || | || | ||
| * RAID 6까지가 업계 표준으로 인정 받는다. | *RAID 6까지가 업계 표준으로 인정 받는다. | ||
| * RAID 7은 벤더마다 주장하는 여러가지가 있다. | *RAID 7은 벤더마다 주장하는 여러가지가 있다. | ||
| |- | |- | ||
| ||   | || | ||
|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
| |} | |} | ||
| == 조합 모델 == | ==조합 모델== | ||
| === RAID-0-1 === | ===RAID-0-1===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0 1.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0 1.png|250px]] | ||
| || | || | ||
| * RAID-0의 스트라이핑으로 구성된 하드들을 묶어 RAID-1미러링으로 구성 | *RAID-0의 스트라이핑으로 구성된 하드들을 묶어 RAID-1미러링으로 구성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4개 | *최소 수량: 4개 | ||
| * 공간 효율: 1/n배 | *공간 효율: 1/n배 | ||
| * 읽기 효율: 2배 | *읽기 효율: 2배 | ||
|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RAID-1-0 === | ===RAID-1-0===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 ! 구조 !! 설명 | !구조!!설명 | ||
| |- | |- | ||
| | rowspan="2' | [[파일:RAID 1 0.png|250px]]   | | rowspan="2' " |[[파일:RAID 1 0.png|250px]] | ||
| || | || | ||
| * RAID 0-1보단 RAID 1-0이 더 많이 쓰인다. | *RAID 0-1보단 RAID 1-0이 더 많이 쓰인다. | ||
| |- | |- | ||
| ||   | || | ||
| * 최소 수량: 4개 | *최소 수량: 4개 | ||
| * 공간 효율: 1/n배 | *공간 효율: 1/n배 | ||
| * 읽기 효율: 2배 | *읽기 효율: 2배 | ||
|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쓰기 효율: 해당 없음 | ||
| * 고장 허용: 1개 허용 | *고장 허용: 1개 허용 | ||
| |} | |} | ||
| == 관련 기출 == | |||
| '''미러링(Mirroring)''' | |||
| * 디스크에 에러 발생 시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 위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하는 기술 | |||
| '''스트라이핑(Striping)''' | |||
2022년 2월 8일 (화) 10:56 판
- 하드디스크 여러 개를 활용하여 속도 향상이나 안전성 향상을 높이는 기술
기본 모델
RAID-0
- Striped disk array without fault tolerance
| 구조 | 설명 | 
|---|---|
|   | 
 | 
| 
 | 
RAID-1
- Mirroring and duplexing
| 구조 | 설명 | 
|---|---|
|   | 
 | 
| 
 | 
RAID-2
- Hamming code ECC
| 구조 | 설명 | 
|---|---|
|   | 
 | 
| 
 | 
RAID-3
- Parallel transfer with parity
| 구조 | 설명 | 
|---|---|
|   | 
 | 
| 
 | 
RAID-4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shared parity disk
| 구조 | 설명 | 
|---|---|
|   | 
 | 
| 
 | 
RAID-5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distributed parity blocks
| 구조 | 설명 | 
|---|---|
|   | 
 | 
| 
 | 
RAID-6
- Independent data disks with two independent distributed parity schemas
| 구조 | 설명 | 
|---|---|
|   | 
 | 
| 
 | 
RAID-7
- 비공식
| 구조 | 설명 | 
|---|---|
| 사진 없음 | 
 | 
| 
 | 
조합 모델
RAID-0-1
| 구조 | 설명 | 
|---|---|
|   | 
 | 
| 
 | 
RAID-1-0
| 구조 | 설명 | 
|---|---|
|   | 
 | 
| 
 | 
관련 기출
미러링(Mirroring)
- 디스크에 에러 발생 시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 위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하는 기술
스트라이핑(Strip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