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망처리장치: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새 문서: 분류:하드웨어 ;NPU, Neural Processing Unit 사람의 뇌 속 신경세포인 '뉴런'과 비슷한 구조로 프로세서를 구성하여 코어 수를 대폭 늘림으...)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하드웨어]]
[[분류:하드웨어]]
;NPU, Neural Processing Unit
;NPU, Neural Processing Unit
사람의 뇌 속 신경세포인 '뉴런'과 비슷한 구조로 프로세서를 구성하여 [[코어]] 수를 대폭 늘림으로써 1초에 1조번 연산을 할 수 있는 병렬 컴퓨팅 구조
사람의 뇌 속 신경세포인 '뉴런'과 비슷한 구조로 구현된 [[중앙처리장치]]로, [[코어]] 수를 대폭 늘림으로써 1초에 1조번 연산을 할 수 있는 병렬 컴퓨팅 구조 장치


* 중앙처리장치(CPU)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비해 연산 속도 대폭 개선
* 중앙처리장치(CPU)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비해 연산 속도 대폭 개선
13번째 줄: 13번째 줄:
== 기대 효과 ==
== 기대 효과 ==
* 뉴로모픽 프로세서 개발과 휴머노이드 및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구현
* 뉴로모픽 프로세서 개발과 휴머노이드 및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구현
== 같이 보기 ==
* [[중앙처리장치]]

2019년 6월 19일 (수) 08:58 기준 최신판

NPU, Neural Processing Unit

사람의 뇌 속 신경세포인 '뉴런'과 비슷한 구조로 구현된 중앙처리장치로, 코어 수를 대폭 늘림으로써 1초에 1조번 연산을 할 수 있는 병렬 컴퓨팅 구조 장치

  • 중앙처리장치(CPU)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비해 연산 속도 대폭 개선
  • AI와 딥러닝 알고리즘 구현에 최적화

개발 현황[편집 | 원본 편집]

  • 삼성전자는 2018년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안에 독자 개발한 NPU를 탑재한 '엑시노스 9(9820)' 출시
  • 삼성전자는 NPU 연구 인력을 향후 10년 동안 10배 이상 충원, 2000명 이상을 고용할 방침[1]
  • 삼성전자는 독자 NPU 개발을 통해 2030년 시스템반도체 업계 1위를 노릴 것이라 발표

기대 효과[편집 | 원본 편집]

  • 뉴로모픽 프로세서 개발과 휴머노이드 및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구현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1. 삼성전자 "NPU 독자개발해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목표"(전자신문, 2018.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