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COMO: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분류:프로젝트 관리]][[분류:정보처리기사]]  | [[분류:소프트웨어 공학]][[분류:프로젝트 관리]][[분류:정보처리기사]]  | ||
;COnstructive COst MOdel  | ;COnstructive COst MOdel  | ||
;  | ;시스템의 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듈과 서브 시스템의 비용 합계를 계산하는 방식  | ||
* 1981년에 초기 모델 제안, 1995년 [[COCOMO II]]로 확장  | * B.Boehm이 1981년에 초기 모델 제안, 1995년 [[COCOMO II]]로 확장  | ||
* 먼저 완성될 시스템의 규모(lines of code)를 추정하고 이를 준비된 식에 대입하여 소요 인원/월을 예측  | * 먼저 완성될 시스템의 규모(lines of code)를 추정하고 이를 준비된 식에 대입하여 소요 인원/월을 예측  | ||
== 프로젝트 유형 ==  | == 3가지 모델 유형 ==  | ||
=== Basic COCOMO ===  | |||
;기본형 COCOMO  | |||
* SW 개발 노력과 비용을 LOC 형태로 추정한 후 비용을 산정하는 고정 단일값 모형(Static Single-valued Mode)  | |||
* 산정공식  | |||
** 개발 노력(Effort, MM) = a × (KDSI)^b  | |||
** 개발 기간(TDEV) = c × (MM)^d  | |||
** 적정 투입 인원(FPS) = MM / TDEV  | |||
** 인적 비용(COST) = MM × 인당 월평균 급여  | |||
== Intermediate COCOMO ==  | |||
;중간형 COOCMO  | |||
* 프로젝트 형태, 개발환경, 개발인력 요소에 따라 15개의 특성치를 적용한 방식  | |||
*# 제품속성(Product) 3가지: SW 신뢰도, DB크기, 제품의 복잡성  | |||
*# HW속성(Computer) 4가지: 응답시간, 실행시간 제약, 기억장치 제약, 가상기계 환경의 휘발성  | |||
*# 인적속성(Personal) 5가지: 분석가의 자질, 프로그래머의 자질, 응용분야의 경험, 컴퓨터와의 친숙성,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  | |||
*# 프로젝트 속성(Project) 3가지: 개발 기간의 산정, 개발도구 사용, 방법론 응용  | |||
* 산정공식  | |||
** 개발 노력(Effort, MM) = Basic COCOMO의 MM × 요인별 노력 승수  | |||
** 개발 기간(TDEV) = c × (MM)^d  | |||
** 적정 투입 인원(FPS) = MM / TDEV  | |||
** 인적 비용(COST) = MM × 인당 월평균 급여  | |||
== Detailed COCOMO ==  | |||
;발전형 COCOMO  | |||
* 대형 시스템에 대하여 서브시스템의 상이한 특성을 반영하여 비용을 개별 산정한 후 합산하는 방식  | |||
* 3단계 비용 산정: 모듈, 서브시스템, 시스템 레벨  | |||
*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개발 단계별(SDLC)]]로 비용 산정방식을 달리 할 수 있음  | |||
* 산정공식  | |||
** 중간형 COCOMO 산정 공식 그대로 사용  | |||
** 노력 승수 = 개발 공정별 노력 승수 × 개발 공정별 가중치  | |||
== 3가지 프로젝트 유형 ==  | |||
; 프로젝트 유형을 구분하여 프로그램 규모(Kilo Delivered Source Instruction, KDSI)와 프로그래머 M/M(Programmer Man/Month, PM)의 관계 정의  | ; 프로젝트 유형을 구분하여 프로그램 규모(Kilo Delivered Source Instruction, KDSI)와 프로그래머 M/M(Programmer Man/Month, PM)의 관계 정의  | ||
=== Organic Mode ===  | |||
; 단순형 모드  | |||
* 5만 라인 이하  | |||
* 소규모 팀이 개발하는 잘 알려진 응용 시스템  | |||
* PM = 2.4 x (KSDI)^1.05  | |||
=== Semi-Detached Mode ===  | |||
; 중간형 모드  | |||
* 30만 라인 이하  | |||
* 트랜잭션 처리, 운영체제, DBMS 등  | |||
* PM = 2.4 x (KSDI)^1.12  | |||
=== Embedded Mode ===  | |||
;임베디드형 모드  | |||
* 5만 라인 이하  | |||
* 하드웨어가 포함된 최상위 규모의 실시간 처리 시스템  | |||
* 미사일 유도, 신호기 제어 시스템 등  | |||
* PM = 2.4 x (KSDI)^1.20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COCOMO II]]  | * [[COCOMO II]]  | ||
* [[기능 점수]]  | * [[기능 점수]]  | ||
2019년 8월 18일 (일) 12:54 판
- COnstructive COst MOdel
 - 시스템의 비용을 산정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듈과 서브 시스템의 비용 합계를 계산하는 방식
 
- B.Boehm이 1981년에 초기 모델 제안, 1995년 COCOMO II로 확장
 - 먼저 완성될 시스템의 규모(lines of code)를 추정하고 이를 준비된 식에 대입하여 소요 인원/월을 예측
 
3가지 모델 유형
Basic COCOMO
- 기본형 COCOMO
 
- SW 개발 노력과 비용을 LOC 형태로 추정한 후 비용을 산정하는 고정 단일값 모형(Static Single-valued Mode)
 - 산정공식
- 개발 노력(Effort, MM) = a × (KDSI)^b
 - 개발 기간(TDEV) = c × (MM)^d
 - 적정 투입 인원(FPS) = MM / TDEV
 - 인적 비용(COST) = MM × 인당 월평균 급여
 
 
Intermediate COCOMO
- 중간형 COOCMO
 
- 프로젝트 형태, 개발환경, 개발인력 요소에 따라 15개의 특성치를 적용한 방식
- 제품속성(Product) 3가지: SW 신뢰도, DB크기, 제품의 복잡성
 - HW속성(Computer) 4가지: 응답시간, 실행시간 제약, 기억장치 제약, 가상기계 환경의 휘발성
 - 인적속성(Personal) 5가지: 분석가의 자질, 프로그래머의 자질, 응용분야의 경험, 컴퓨터와의 친숙성,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
 - 프로젝트 속성(Project) 3가지: 개발 기간의 산정, 개발도구 사용, 방법론 응용
 
 - 산정공식
- 개발 노력(Effort, MM) = Basic COCOMO의 MM × 요인별 노력 승수
 - 개발 기간(TDEV) = c × (MM)^d
 - 적정 투입 인원(FPS) = MM / TDEV
 - 인적 비용(COST) = MM × 인당 월평균 급여
 
 
Detailed COCOMO
- 발전형 COCOMO
 
- 대형 시스템에 대하여 서브시스템의 상이한 특성을 반영하여 비용을 개별 산정한 후 합산하는 방식
 - 3단계 비용 산정: 모듈, 서브시스템, 시스템 레벨
 - 개발 단계별(SDLC)로 비용 산정방식을 달리 할 수 있음
 - 산정공식
- 중간형 COCOMO 산정 공식 그대로 사용
 - 노력 승수 = 개발 공정별 노력 승수 × 개발 공정별 가중치
 
 
3가지 프로젝트 유형
- 프로젝트 유형을 구분하여 프로그램 규모(Kilo Delivered Source Instruction, KDSI)와 프로그래머 M/M(Programmer Man/Month, PM)의 관계 정의
 
Organic Mode
- 단순형 모드
 
- 5만 라인 이하
 - 소규모 팀이 개발하는 잘 알려진 응용 시스템
 - PM = 2.4 x (KSDI)^1.05
 
Semi-Detached Mode
- 중간형 모드
 
- 30만 라인 이하
 - 트랜잭션 처리, 운영체제, DBMS 등
 - PM = 2.4 x (KSDI)^1.12
 
Embedded Mode
- 임베디드형 모드
 
- 5만 라인 이하
 - 하드웨어가 포함된 최상위 규모의 실시간 처리 시스템
 - 미사일 유도, 신호기 제어 시스템 등
 - PM = 2.4 x (KSDI)^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