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A: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
| ! ① SLA 설정   | ! ① SLA 설정   | ||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SLA ▶ | ||
| ! ② 사용자 승인 | ! ② 사용자 승인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조정 ▲ ||    | ||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비용 ▼ | ||
| |- | |- | ||
| ! ④ SLA기준으로 평가   | ! ④ SLA기준으로 평가   | ||
| |style="text-align: center;"|  | |style="text-align: center;"| ◀ 사용자 만족도 ◀ | ||
| ! ③ SLA에 따른 운영 | ! ③ SLA에 따른 운영 | ||
| |} | |} | ||
2019년 10월 27일 (일) 17:14 판
- Service Level Agreement
- 정보시스템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상호 동의에 의하여 서비스 수준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문서화한 약정서
필요성
- 서비스의 복잡도 증가에 따른 명확한 의사소통 필요
- 수요자와 공금자의 기대차이로 인한 객관적 기준 필요
- 서비스 측정과 계량화에 따른 성과측정 필요
SLA 절차
| ① SLA 설정 | ▶ SLA ▶ | ② 사용자 승인 | 
|---|---|---|
| ▲ 조정 ▲ | ▼ 비용 ▼ | |
| ④ SLA기준으로 평가 | ◀ 사용자 만족도 ◀ | ③ SLA에 따른 운영 | 
SLA 구성요소
| 구성 요소 | 내용 | 
|---|---|
| 업무 목표/범위 | 서비스 정의, 목적, SLA의 범위 | 
| 성과 지표 | 최소한의 서비스 기준, 성과 기준 설정 | 
| 조정 절차 | 약정의 변경 절차, 유효기간 | 
SLA 측정 지표
| 구분 | SLA 지표 | 측정 방법 | 
|---|---|---|
| HW | 서비스 가동률 | * 서비스 시간 동안 가용성 목표 
 | 
| 동일장애 발생률 | * 기 발생 장애와 동일 장애 재발 비율 
 | |
| SW | 장애 및 오류 건수 | * 장애 건수 n건 이하 | 
| SR 적기 처리율 | * 요청 완료일 이내 서비스 제공 비율 
 | 
SLA의 목적 및 기대효과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제공 서비스의 범위/기준 명확화
- 향후 분쟁 발생시 조정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 고객(발주처)의 무리한 요구 제한 가능
 
- 사용자 측면
- 서비스 발주에 대한 관리/성과측정 가능
- 서비스 품질의 기본적 수준 보장 가능
- 축적된 서비스 품질 자료로 재활용 가능
 
- 기대효과
- 상호간 의사소통의 오해를 없애고 기대차이를 줄여 갈등 방지
- 공급업체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의 객관적 평가 가능
- 시스템 자원 및 인원에 대한 적절한 통제 및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