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댐
IT 위키
데이터 수집ㆍ가공ㆍ거래ㆍ활용기반을 강화하여 데이터 경제를 가속화하고 5세대이동통신(5G) 전국망을 통한 전 산업 5세대이동통신(5G)·인공지능 융합 확산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데이터
-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 확대, 공공데이터 14.2만개 신속 개방,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 1,300종 구축 등 데이터 확충
5세대이동통신(5G) 전국망
- 5세대이동통신(5G)망 조기구축을 위한 등록면허세 감면·투자 세액 공제 등 세제지원 추진
5세대이동통신(5G) 융합
- 실감기술(VR, AR 등)을 적용한 교육ㆍ관광ㆍ문화 등 디지털콘텐츠 및 자율차 주행 기술 등 5세대이동통신(5G) 융합서비스 개발
인공지능 융합
- 스마트공장 1.2만개, 미세먼지 실내정화 등 인공지능 홈서비스 17종 보급, 생활밀접 분야 「AI+X 7대 프로젝트」 추진
디지털 집현전
- 분산되어 있는 도서서관 데이터베이스, 교육콘텐츠, 박물관·미술관 실감콘텐츠 등을 연계하여 통합검색·활용 서비스 제공
추진 목표
범국가적 데이터 정책 수립, 공공·민간데이터 통합관리·연계·활용 활성화, 데이터 산업 지원 등을 위한 민관합동 컨트롤타워 마련(2020년 하반기)
| 현재 상황 | |
|---|---|
| “데이터 수집 초기단계, 5G·AI 융합 미흡” | |
| 성과지표 | ’20년 |
| 데이터시장 규모 | 16.8조원(’19) |
| 5G 보급률 | 14.3%(20.6.) |
| AI 전문기업 수 | 56개 |
| 미래 모습 | |
|---|---|
| “분야별 데이터 확충·연계·활용, 5G·AI 융합서비스 글로벌선도” | |
| ’22년 | ’25년 |
| 30조원 | 43조원 |
| 45% | 70% |
| 100개 | 15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