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혹 네트워크

IT 위키
정처없는기사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4월 4일 (금) 01:23 판 (새 문서: '''Ad-hoc; 애드 혹, 애드혹'''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는 고정된 인프라 없이 노드들 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중앙 집중형 라우터나 기지국 없이 각 노드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필요할 경우 '''다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는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이다. ==개념== "ad hoc"이라는 표현은 "임시로", "즉석에서"라는 의미를 가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Ad-hoc; 애드 혹, 애드혹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는 고정된 인프라 없이 노드들 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중앙 집중형 라우터나 기지국 없이 각 노드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필요할 경우 다른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는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이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ad hoc"이라는 표현은 "임시로", "즉석에서"라는 의미를 가지며, 네트워크도 고정된 토폴로지 없이 동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이름이 붙었다. 각 노드는 라우터와 호스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주변 노드와 통신하고 네트워크를 유지한다.

2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인프라 없음: 기존 유선망, 기지국, 라우터 없이 동작
  • 자기 구성(Self-configuring):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형성 및 재구성됨
  • 동적 토폴로지: 노드 이동, 연결/해제에 따라 구조가 변함
  • 분산 제어: 중앙 제어 장치 없이 각 노드가 독립적으로 동작
  • 멀티 홉 통신: 직접 연결되지 않은 노드 간의 통신은 중간 노드를 통해 이뤄짐

3 주요 유형[편집 | 원본 편집]

  • MANET (Mobile Ad hoc Network)
    • 이동성이 있는 장치들로 구성된 애드혹 네트워크
    • 군사 통신, 재난 구조, 임시 행사 등에 사용
  • 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
    • 차량 간 통신을 위한 애드혹 네트워크
    • 자율주행, 교통 정보 공유에 활용
  • WSN (Wireless Sensor Network)
    •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 분산형 네트워크
    • 환경 모니터링, 산업 자동화에 사용

4 라우팅 프로토콜[편집 | 원본 편집]

애드혹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구조에 적응해야 하므로, 특별한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 AODV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 필요할 때 경로를 찾는 주문형 라우팅
  • DSDV (Destination-Sequenced Distance Vector)
    • 테이블 기반(Table driven) 거리 벡터 라우팅
  • DSR (Dynamic Source Routing)
    • 송신자가 전체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

5 네트워크 구조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애드혹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Single-hop 네트워크
    • 모든 노드가 통신 범위 내에 있어 직접 통신이 가능함
    • 라우팅이 불필요하거나 매우 단순함
    • "제한된 범위의 애드혹 네트워크"로 볼 수 있음
    • 예: 가까운 거리의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ex. 블루투스 기반 파일 공유)
  • Multi-hop 네트워크
    • 노드 간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중간 노드를 통해 메시지 전달
    • 분산형(ad hoc) 구조이며, 노드들이 자율적으로 라우팅 수행
    • 예: MANET(Mobile Ad hoc Network), WSN(Wireless Sensor Network)

6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뛰어난 이동성
    • 모바일 호스트 이용
    • 재난 상황, 군사 작전, 긴급 대응 등에서 유용
  • 저렴한 구성
    • 기지국 필요 없음
    • 네트워크 인프라 없이 빠르게 구성 가능
  • 동적 토폴로지
    • 참여 및 이탈 용이
    • 이동성과 확장성이 높음

7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불안한 링크
    • 전송 거리, 대역폭 제한
    • 노드의 이동으로 인해 경로 안정성이 낮음
  • 보안 취약
    • 전파간섭, 다중링크 취약점
  • 에너지 소모가 많음
  • QoS 보장이 어렵고, 확장성에 한계가 있음

8 활용 사례[편집 | 원본 편집]

  • 군사 전장 통신 시스템
  • 재난 지역의 임시 통신망
  • 차량 간 통신(V2V)
  • IoT 센서 네트워크

9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10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Perkins, C. E. (2001). Ad Hoc Networking. Addison-Wesley
  • Toh, C. K. (2001). Ad Hoc Mobile Wireless Networks: Protocols and Systems.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