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DQM3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김형교
(
토론
|
기여
)
님의 2019년 12월 6일 (금) 21:50 판
(
차이
)
← 이전 판
|
최신판
(
차이
) |
다음 판 →
(
차이
)
Data Quality Management Maturity Model
데이터 품질 관리
수준을 진단하고 개선 과제 및 방안을 단계적,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개발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성숙도 모델
특징
수준(성숙도) 측정
개선 방향 제시
조직에 따른 선별적 적용 가능 구조
5단계 성숙도
CMMi
나
SPICE
의 성숙도 모델과 흡사한 체계
단계
내용
최적화
개선사항을 지속적으로 도출, 실행, 평가 등 사후관리
미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
정량화
통계적 기법이나 정량적인 층정방법으로 관리
지속성, 안정적인 예측 가능성 유지
통합화
일관성 있는 관리체계가 전사적으로 반영
데이터 품질은 정성적으로 관리
정형화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정책, 규정, 프로세스 정형화
단위 시스템 및 일부 조직에서 활용
도입
품질관리 체계의 초기 도입 단계
데이터의 문제점과 품질관리 필요성 인식
같이 보기
데이터 품질 관리
DQM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분류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이 문서 인용하기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인쇄용 판
고유 링크
문서 정보
문서 기록
분류 목록
분류 목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