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제로데이 공격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PE120
(
토론
|
기여
)
님의 2020년 1월 20일 (월) 21:06 판
(
차이
)
← 이전 판
|
최신판
(
차이
) |
다음 판 →
(
차이
)
Zero Day Attack
보안 취약점이 발표 되었을 때 그 취약점이 널리 알려져 조치 되기 전에 그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패치가 발견되기도 전에 이루어지는 공격은 대처 방법이 없다.
사례
스턱스넷
: 제로데이 취약점 5개를 이용한 대표적인 웜
어도비 플래시
: 북한에서 어도비 플래시 제로데이 취약점 기반 악성코드 유포
마이크로소프트 IE
: IE7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어 패치하였는데 이전 모든 버전에서 존재해온 취약점
스펙터
와
멜트다운
: 구글에선 제로데이 공격 방지를 위해 인텔 등에 취약점 사전 공지
대응
취약점과 패치가 동시에 발표되더라도 아직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을 찾아서 공격하므로 패치의 빠른 적용이 중요
상당수의 제로데이 공격은 패치가 나왔으나 미처 적용하지 못한 취약한 대상을 타켓으로 함
지능형
IDS
나
IPS
,
허니팟
등
분류
:
보안
보안 공격
정보보안기사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이 문서 인용하기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인쇄용 판
고유 링크
문서 정보
문서 기록
분류 목록
분류 목록
보안
보안 공격
정보보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