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럿 (기호)
IT 위키
캐럿(caret)은 텍스트나 수학 표현식에서 사용하는 기호로, 주로 윗첨자 지시, 정규화 표기,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 내 제어 기능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기호 모양은 ^ 이다.
명칭[편집 | 원본 편집]
캐럿(caret)은 라틴어 *caret*에서 유래된 단어로, "빠져 있다"는 뜻을 가지며, 원래는 인쇄 교정 기호로서 누락된 문자를 삽입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수학, 프로그래밍, 입력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비공식적으로 "해트" 또는 "꼭대기 기호"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나, "캐럿"이 가장 널리 통용되는 표현이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수학 및 과학 표기
- 정규화(normalization): 예) x^ = 정규화된 x (엑스 해트)
- 추정값 표기: 예) θ^ = 추정된 파라미터 값
- 프로그래밍
- 비트 연산: C, Java 등에서 XOR 연산자로 사용 (예: a ^ b)
- 제곱 연산: 일부 언어(Python 외부 라이브러리, MATLAB 등)에서는 거듭제곱 연산자로 사용
- 제어 문자 입력: 터미널 환경에서 Ctrl + [알파벳] 조합으로 캐럿 기호와 함께 표기
- 텍스트 교정
- 문서 편집 시 삽입 기호로 사용 (예: 삽입할 위치에 ^와 함께 단어 표기)
컴퓨터 키보드에서의 입력[편집 | 원본 편집]
캐럿 기호는 대부분의 키보드에서 Shift 키와 숫자 6 키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유럽 자판에서는 탈자 기호로 쓰이기도 하며, 조합 문자 입력 시 보조 기호로도 사용된다.
유사 기호[편집 | 원본 편집]
- 해트(hat): 수학적 의미에서 캐럿 기호로 표기되는 문자의 윗부분 기호를 일컫는 용어
- 곱셈 기호(*) 또는 틸드(~)와 혼동될 수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구별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Knuth, D. E. (1984). *The TeXbook*. Addison-Wesley.
- ISO/IEC 646:1991. *Information technology — ISO 7-bit coded character set for information inter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