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수학)
IT 위키
군(群, group)은 하나의 이항 연산이 정의된 집합으로, 그 연산이 일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추상대수학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이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집합 G와 이항 연산 * 가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G, *)를 군(group)이라고 한다.
1. 닫힘성[편집 | 원본 편집]
- 모든 a, b ∈ G에 대해 a * b ∈ G
2. 결합법칙[편집 | 원본 편집]
- (a * b) * c = a * (b * c) for all a, b, c ∈ G
3. 항등원 존재[편집 | 원본 편집]
- G에 어떤 원소 e가 존재하여, 모든 a ∈ G에 대해 e * a = a * e = a
4. 역원 존재[편집 | 원본 편집]
- 모든 a ∈ G에 대해 a의 역원 a⁻¹ ∈ G가 존재하여, a * a⁻¹ = a⁻¹ * a = e
※ 위 네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군이다. ※ 만약 a * b = b * a가 모든 a, b ∈ G에 대해 성립하면, 가환군(Abelian group)이라 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정수의 집합 Z, 연산은 덧셈 (+)
- 항등원: 0, 역원: -a, 가환군
- 정수 Z에서 0 제외하고 곱셈 연산: 군 아님 (역원 존재하지 않음)
- 실수 집합 R \ {0}, 연산은 곱셈 (*)
- 항등원: 1, 역원: 1/a, 가환군
- 2×2 가역행렬의 집합 (GL(2, R)), 연산은 행렬 곱셈
- 비가환군 (곱셈이 교환법칙을 만족하지 않음)
군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가환군 (Abelian group): 교환법칙 a * b = b * a가 성립
- 유한군 (finite group): 원소 수가 유한한 군
- 순환군 (cyclic group): 어떤 원소의 거듭제곱으로 모든 원소를 생성할 수 있는 군
- 대칭군 (symmetric group): n개의 원소에 대한 모든 순열로 구성된 군
- 행렬군 (matrix group): 행렬을 원소로 갖고, 행렬 곱셈으로 연산하는 군
군의 활용[편집 | 원본 편집]
- 정수론, 수론
- 기하학과 대칭성 표현
- 암호학 및 정보 보안 (예: 타원 곡선 암호)
- 양자역학, 물리학의 대칭 이론
- 화학의 분자 대칭 분석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Dummit, D. S., & Foote, R. M. (2004). Abstract Algebra. Wiley.
- Rotman, J. J. (1995).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