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나무: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데이터 과학]][[분류:프로젝트 관리]]
[[분류:데이터 과학]]
[[분류:프로젝트 관리]]
 
;Decision Tree
;Decision Tree
;분류함수를 의사결정 규칙으로 표현할 때 타원(분기점), 직선(가지), 사각형(잎사귀)을 이용하여 나무형태로 그려서 분석하는 기법
;의사결정 규칙을 나무 구조(Tree)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
* 데이터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분할 기준을 판결하고, 분할 기준에 따라 트리 형태로 분기하여 모델링
 
* 데이터 분석 결과가 의사결정 나무의 분기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해석이 용이
*데이터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분할 기준을 판결하고, 분할 기준에 따라 트리 형태로 분기하여 모델링
*데이터 분석 결과가 의사결정 나무의 분기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해석이 용이


[[파일:의사결정나무.png|400px]]
[[파일:의사결정나무.png|400px]]


== 유형 ==
==과정==
{| class="wikitable"
|-
!단계!!설명
|-
|의사결정 나무 형성||
분석 목적과 자료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분리 규칙, 분리 기준 및 정지 규칙 지정
|-
|가지치기||분류오류(Classification Error) 유발 위험이 높거나 부적절한 규칙을 가지는 가지(Branch) 제거
|-
|타당성 평가||이익, 비용, 위험 등을 고려하여 모형을 평가하는 단계
|-
|해석 및 예측||해석 결과에 따라 분류 및 예측 모형 설정
|}
 
=== 의사결정 나무 형성 ===
 
* 분리 규칙(Splitting Rule)
* 분리 기준(Splitting Criterion)
* 정지 규칙(Stopping Rule)
 
=== 가지치기 ===
 
* 에러 감소 가지치기(Reduced Error Pruning)
* 룰 포스트 가지치기(Rule Post Pruning)
 
=== 타당성 평가 ===
 
* 이익 도표(Gains Chart)
* 위험 도표(Risk Chart)
* 검정 자료(Test Data)
*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 해석 및 예측 ===
 
== 구성요소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단계 !! 설명
!구성요소!!설명
|-
|뿌리 마디(Root Node)||나무가 시작되는 마디로 전체 자료를 포함
|-
|중간 마디(InternalNode)||부모와 자식 마디를 모두 가진 마디
|-
|-
| 의사결정 나무 형성 ||  
|끝 마디(Terminal Node)||자식 노드가 없는 마디
분석 목적과 자료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분리 기준(Split Criterion) 및 정지규칙(Stopping Rule) 지정
|-
|-
| 가지치기 || 분류오류(Classification Error) 유발 위험이 높거나 부적절한 규칙을 가지는 가지(Branch) 제거
|부모 마디(Parent Node)
|주어진 노드의 상위 마디
|-
|-
| 타당성 평가 || 이익 도표(Gains Chart), 위험 도표(Risk Chart), 검정 자료(Test Data)에 의한 교차타당성(Cross Validation) 등을 이용하여 평가
|자식 마디(Child Node)
|주어진 노드의 하위 마디
|-
|-
| 결과 도출 || 해석 결과에 따라 분류 및 예측 모형 설정
|가지(Branch)
|하나의 마디로부터 끝 마디까지 연결된 마디들
|-
|깊이(Depth)
|가지를 이루는 마디의 개수
|}
|}


== 활용 알고리즘 ==
==활용 알고리즘==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알고리즘 !! 설명
!알고리즘!!설명
|-
|CHAID||카이제곱 검정(범주형 목표변수) 또는 F-검정(연속형 목표변수)을 이용하여 다지분리(Multiway Split) 수행
|-
|-
| CHAID || 카이제곱 검정(범주형 목표변수) 또는 F-검정(연속형 목표변수)을 이용하여 다지분리(Multiway Split) 수행
|CART||지니 지수(Gini Index, 범주형) 또는 분산의 감소량(연속형)을 이용하여 이진분리(Binary Split) 수행
|-
|-
| CART || 지니 지수(Gini Index, 범주형) 또는 분산의 감소량(연속형)을 이용하여 이진분리(Binary Split) 수행
|CS5.0||명목형 목표 변수를 지원하는 가장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다지분리(범주)이진분리(수치) 수행
|-
|-
| CS5.0 || 명목형 목표 변수를 지원하는 가장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다지분리(범주)및 이진분리(수치) 수행
|[[랜덤 포레스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배깅(Bagging) 등의 앙상블(Ensemble) 기법을 활용
|}
|}


== 장단점 ==
==장단점==
* 장점
 
** 이해하기 쉬운 모델 형태
*장점
** 여러 변수의 영향도 파악 용이
**이해하기 쉬운 모델 형태
** 계산복잡성 대비 높은 예측 성능
**여러 변수의 영향도 파악 용이
**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 모두 가능
**계산복잡성 대비 높은 예측 성능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 모두 가능
 
::→ 범주나 연속형 수치 모두 예측
::→ 범주나 연속형 수치 모두 예측
* 단점
 
** 최적해를 보장하지 못함(Greedy 알고리즘)
*단점
** 비연속성 분류
**최적해를 보장하지 못함(Greedy 알고리즘)
** 결정경계(decision boundary)가 데이터 축에 수직인 데이터에만 최적화
**비연속성 분류
**결정경계(decision boundary)가 데이터 축에 수직인 데이터에만 최적화

2020년 12월 2일 (수) 22:21 판


Decision Tree
의사결정 규칙을 나무 구조(Tree)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
  • 데이터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분할 기준을 판결하고, 분할 기준에 따라 트리 형태로 분기하여 모델링
  • 데이터 분석 결과가 의사결정 나무의 분기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해석이 용이

의사결정나무.png

과정

단계 설명
의사결정 나무 형성

분석 목적과 자료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분리 규칙, 분리 기준 및 정지 규칙 지정

가지치기 분류오류(Classification Error) 유발 위험이 높거나 부적절한 규칙을 가지는 가지(Branch) 제거
타당성 평가 이익, 비용, 위험 등을 고려하여 모형을 평가하는 단계
해석 및 예측 해석 결과에 따라 분류 및 예측 모형 설정

의사결정 나무 형성

  • 분리 규칙(Splitting Rule)
  • 분리 기준(Splitting Criterion)
  • 정지 규칙(Stopping Rule)

가지치기

  • 에러 감소 가지치기(Reduced Error Pruning)
  • 룰 포스트 가지치기(Rule Post Pruning)

타당성 평가

  • 이익 도표(Gains Chart)
  • 위험 도표(Risk Chart)
  • 검정 자료(Test Data)
  •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해석 및 예측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뿌리 마디(Root Node) 나무가 시작되는 마디로 전체 자료를 포함
중간 마디(InternalNode) 부모와 자식 마디를 모두 가진 마디
끝 마디(Terminal Node) 자식 노드가 없는 마디
부모 마디(Parent Node) 주어진 노드의 상위 마디
자식 마디(Child Node) 주어진 노드의 하위 마디
가지(Branch) 하나의 마디로부터 끝 마디까지 연결된 마디들
깊이(Depth) 가지를 이루는 마디의 개수

활용 알고리즘

알고리즘 설명
CHAID 카이제곱 검정(범주형 목표변수) 또는 F-검정(연속형 목표변수)을 이용하여 다지분리(Multiway Split) 수행
CART 지니 지수(Gini Index, 범주형) 또는 분산의 감소량(연속형)을 이용하여 이진분리(Binary Split) 수행
CS5.0 명목형 목표 변수를 지원하는 가장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다지분리(범주)및 이진분리(수치) 수행
랜덤 포레스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배깅(Bagging) 등의 앙상블(Ensemble) 기법을 활용

장단점

  • 장점
    • 이해하기 쉬운 모델 형태
    • 여러 변수의 영향도 파악 용이
    • 계산복잡성 대비 높은 예측 성능
    •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 모두 가능
→ 범주나 연속형 수치 모두 예측
  • 단점
    • 최적해를 보장하지 못함(Greedy 알고리즘)
    • 비연속성 분류
    • 결정경계(decision boundary)가 데이터 축에 수직인 데이터에만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