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침입탐지시스템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탐지방법에 의한 분류== ===지식기반 침입탐지=== ;Knowledge-based Detection *aka. 오용탐지(Misuse Detection) 이라고도 부른다. *비정상 행위에 대한 패턴을 입력하여 일치하는 패턴을 탐지한다.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 **상태전이 모델 **패턴 매칭(Signature-based Detection) **페트리 넷(petri-nets) *장단점 **오탐률이 낮다. **새로운 패턴은 탐지 불가 **속도 느림 ===행위기반 침입탐지=== ;Anomaly Detection; 이상탐지 *정상 행위와 비정상 행위를 프로파일링 하여 통계 및 AI를 이용하여 정상/비정상을 구분한다. **통계적 분석 **예측 가능한 패턴 생성 **신경망 모델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s)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장단점 **패턴 자동 업데이트 **새로운 패턴(제로데이 공격 등) 탐지 가능 **오탐률이 높음 **정상/비정상 기준 수립이 힘듦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