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위키
검색
커버로스
편집하기
IT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분류:보안]][[분류:정보보안기사]] ;Kerberos; 커브로스; 커베로스; * 미국 MIT대의 Athena Project에 의해 개발된 대칭키 방식에 의한 인증 시스템 * 인증 프로토콜이자 동시에 키분배센터(KDC)의 역할도 수행 * 신뢰받은 제3자 기반의 인증 시스템의 초기 구현 형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됨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증 메커니즘 **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security/threat-protection/security-policy-settings/kerberos-policy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커버로스 정책 설정 안내] *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 이용 가능 ** [[SSO]]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으로 사용됨 == 서버 구성 == === AS === ;Authentication Server * 모든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 로그인 시에는 AS에서 패스워드로 인증 * 사용자 입장에선 AS에 한번 로그인하면 인증 과정 종료 === TGS === ;Ticket Granting Service * AS에서 인증받은 사용자들에 대해 각 필요한 서비스의 티켓을 발행 === 서비스 서버 === ;표준상의 공식적 구성요소는 아님. 이해를 돕기위한 것이며, 실무적으로 응당 있는 서버 * TGS에서 발급받은 티켓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 티켓 == === 티켓 구성요소 === * 클라이언트가 접속 하기를 원하는 서버의 ID * 클라이언트의 ID *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주소 * 티켓의 유효 기간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비스 기간 동안 공유하는 세션키 === TGT === ;Ticket Granting Ticket * AS에서 발급 * 서버에서 인증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티켓으로, 로그인 세션마다 한번만 발급 === SGT === ;Service Granting Ticket * TGT를 보고 발행해주는 짧은 유효기간의 1회용 티켓 * 타임스탬프 연동을 통해 시간제한을 둠으로써 재사용 공격을 방지 == 버전 == ;주로 사용되는 버전은 4버전과 5버전이 있음 * Ver 4 : DES 사용 * Ver 5 : DES 이외의 다른 암호 알고리즘 등도 사용 가능 == 단점 == * [[단일실패지점|단일실패지점(Single Point of Failure)]] 위험([[SSO]]의 공통 문제) * 대칭키 교환에 따른 탈취 위험([[대칭키 암호화|대칭키 시스템]]의 공통 문제) * 요청이 많아질 경우 부하 집중([[KDC]]의 공통 문제) * 버전4는 [[DES|DES 알고리즘]]을 이용하므로 알고리즘 자채의 취약성에 따른 위험 상존
요약: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분류별 보기
일반 IT용어
프로젝트 관리
디지털 서비스
블록체인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공학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
자료 구조
데이터 과학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보안
컴플라이언스
개인정보보호
표준
경영학
기업 IT
조직/단체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